학술논문
漢文本 〈南征八難記〉의 特徵
이용수 9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Nam-Jung-Pal-Nan-Gi written in Chinese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崔允姬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24집, 309~3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tudy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Nam-Jung-Pal-Nan-Gi〉. For that purpose, this version was considered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n Chinese character full-length novels such as 〈Gu-Un-Mong〉, 〈Ok-Su-Gi〉, 〈Ok-Ru-Mong〉, 〈Il-Rak-Jeong-Gi〉. I examined the pieces of work centering around a system, an idiomatic phrase and linguistic representation.
First, Chinese character version 〈Nam-Jung-Pal-Nan-Gi〉, while having a system of a full-length novel, is closer to the system of a Chinese Jang-Hoea (many installments) novel. Because, it is not complete but equipped with components of the system a Chinese Jang-Hoea novel has.
Second, as a characteristic indicated in a form, I could identify respective idiomatic phrases used for the reservation and termination of event progress. It was a characteristic of only 〈Nam-Jung-Pal-Nan-Gi〉 which is seldom showed in a Korean full-length novel.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 indicated in representation from the linguistic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cruel or excessive expression is recklessly showed and that words and phrases which could be seen in written colloquial Chinese were used.
Through above discussion, it was found that 〈Nam-Jung-Pal-Nan-Gi〉 has an aspect similar to Chinese novels.
목차
1. 머리말
2. 한문본의 서지적 정보
3. 체제상 특징
4. 형식구 활용의 특징
5. 언어적 특징
6. 맺는말
〈參考文獻〉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漢文本 〈南征八難記〉의 特徵
- 《聊齋志異》 公案小說
- 《九尾狐》 속 여주인공의 형상연구
- 道德理想主義与现實人生困境
- 論汪曾祺小說語言的獨特性
- 話本小說中女性悲劇命運的社會文化根源
- 《紅樓夢》의 초기 비평가 연구
- 唐 傳奇에 나타난 꿈 小考
- 1940년대 상해 작가 鄭定文의 작품집《大姊》에 대한 探索
- 《綠牡丹》和《趙雄傳》之人物比較
- “Fear Me, or Amuse Me, Ghost!” The Theme of Subduing Ghosts in Zi bu yu(子不語)
- 디지털기술과 한국고전소설 연구
- 점몽(占夢)을 통한 현실세계의 이해(1)
- 문화적 공유점을 통해 본 中國現代武俠小說
- 《女開科傳》, 그 모순과 臨界의 서사
- 李漁의 〈男孟母敎合三遷〉小考
- 試論房屋建築在賈府中的文化意蘊及其在現代家庭小說中的流變
- 明末 淸初 소설에 나타난 ‘小靑’ 故事의 변천과 의미에 대한 연구
- 列國題材 소설작품과 한국 구활자본의 개역현상
- 한국중국소설학회 회칙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