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ANCER OF THE NASAL FOSSAE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두경부종양학회
저자명
설대위(David J Seel) 유봉옥(Bong Ok Yoo) 박윤규(Yoon Kyu Park)
간행물 정보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2권 제1호, 13~2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86.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Nasal fossae의 암이란 비강과 부비동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환자를 가장 괴롭히며 또한 가장 믿을수 없는 악성종양들중의 하나이다. 비록 본 예수병원 암환자등록부에 의하면 전 암환자의 2.2% 발생빈도로서 주요한 발생빈도를 보이지는 않지만, 이 부위의 암을 치유하는데는 세심하고 철저한 모든 진단적 검사와 과감한 외과 및 치료방사선의 병합치료가 요구된다. 저자들은 지난 22년간 비강 및 부비동(Nasal fossae)에서 발생한 원발성 악성종양중 지유목적의 근치수술을 시행한 68 예를 임상고찰 하였다. 근치수술을 시행했던 68예중 91%에서 제 3 병기 또는 4 병기의 진행된 경우 이었다. 외과적 수술은 한예의 사골동(篩骨洞)종양적출술 및 부분上顎洞절제술 한예를 제외한 66예 모두에서 全上顎洞절제술 (total maxillectomy ) 또는 확장 全上顎洞절제술(extended total maxillectomy) 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疫學的, 病理學的, 病期및 치료, 재발율과 생존율들을 분석 고찰하였으며 3까지 치료형태를 서로 비교하였다. 즉 수술만 시행한 군, 수술전 방사선 치료 및 수술병합군, 수술과 수술후 방사선치료 병합 군으로 나눴다. 저자들의 예비적(preliminary) 관찰 결과는 2 년간 무병생존율(disease-free 2-year survival )만을 볼때, 수술만 시행한 군에서 40%로써 통계학적으로는 가장 좋았으나 실제는 수술만 시행한 군에서는 단지 40%만이 제 4 病期의 진행된 경우였으나 수술전 방사선치료 또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등의 병합치료에서는 제 4 病期의 진행된 상태가 무려 60%나 되었다. 전체적 인 재발율(Overall recurrence rate) 은 68.2%로써 무서울 정도로 높았으며 전체적인 2년 무병율은 23.7%였다. 저자들은 이 분야에서 실패의 원인분석과 치료방법의 선택등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저 한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INCIDENCE AND EPIDEMIOLOGY
PATHOLOGY
DIAGNOSIS
STAGING
MANAGEMENT POLICIES
TECHNIC OF MAXILLECTOMY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대위(David J Seel),유봉옥(Bong Ok Yoo),박윤규(Yoon Kyu Park). (1986).CANCER OF THE NASAL FOSSAE.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2 (1), 13-22

MLA

설대위(David J Seel),유봉옥(Bong Ok Yoo),박윤규(Yoon Kyu Park). "CANCER OF THE NASAL FOSSAE."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2.1(1986): 13-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