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이용수 9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저자명
- 장시광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4권,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전체 여성반동인물의 개관
3. 개별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
4. 여성반동인물의 서사적, 사회적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전본풀이> 연구
-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 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 모성(母性)의 문화에 대한 신화적 담론
- 18세기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성
-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에 대한 질의문
- <정읍사>의 여성 화자 태도와 그 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삼강명행록>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 "신변탄식류 규방가사 <쳥ᄉᆞᆼ가>를 통해서 본 자전적 글쓰기의 의미"(김수경)에 대한 질의문
- <18세기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성>에 대한 질의문
- 『삼국유사』에 나타난 모성의 형상화
- 1920~30년대 동요에 나타난 '누나'의 이미지
- 조선시대 여성묘지명에 나타난 서술 원리와 그 양상
- 19세기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의 여성재현
- 명창 김소희의 소리 미학과 판소리사적 의의
- <문전본풀이> 연구에 대한 질의문
- 규방가사ㆍ민요ㆍ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 <소현성록>에서 드러나는 남편들의 폭력성과 서술 시각
- 장편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존재방식과 모성
-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 朝鮮時代 後宮傳記文 硏究
-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수용 양상
- 신변탄식류 규방가사 <쳥ᄉᆞᆼ가>를 통해본 자전적 글쓰기의 의미
-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