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for Air Gap Technique in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미영(Mi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7권 제2호, 101~10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유방확대촬영술에서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키며 영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촬영조건을 알아보았다.
자동노출방식의 평균유선선량이 수동노출방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노출방식은 그리드.(grid)사용 여부에 따라 평균유선선량과 화질평가에 차이가 많았으나, 수동노출방식은 팬텀영상평가 점수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air gap technique을 사용할 경우 모든 노출방식에서 신호대잡음비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방확대촬영 시 air gap technique을 사용한다면 환자의 평균유선선량을 감소시키고 신호대잡음비를 높여 양질의 화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ptimal exposure condition in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ytodecreaseradiationdose andincreaseimage qualityof the examinee.
Auto mode, the average glandular dose is higher than the manual mode. Average glandular dose and image quality were many differences on between grid and air gap technique in auto mode. However, Average glandular dose and signal-to-noise ratio were not different on between grid and air gap technique in manual mode. The signal-to-noise ratio was increased when using the air-gap technique in both mode.
According to result, air gap technique may reduce average glandular dose and increase signal-to-noise ratio in digital magnification mammograph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사 맞춤형 조영제 정맥주사 교육과정 개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재구성 알고리즘과 Butterworth 필터 차단 주파수가 핵의학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 Prominence Processor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
- 합성곱 블록 주의 모듈과 U-Net을 활용한 CT 영상 노이즈 제거 기법
- 요오드 조영제 자동 주입 시 외부 가온기 사용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