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Acquired Ocular Motor Apraxia Accompanied with Esotropia due to Multiple Brain Infarc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용대 김성준,Yong Dae Kim, MD, Seong Joon Kim,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5,number9, 1396~140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We present a case of acquired ocular motor apraxia accompanied with esotropia due to multiple brain infarcts. Case summary: A 59-year-old male was referred for diplopia that started 9 years before presentation and continued after multiple brain infracts including right cerebellum, right occipital lobe, medulla oblongata and inferior pons. At initial examination, hi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22 in the right eye and 20/25 in the left eye and he had 12 prism diopter (PD) esotropia at distance and near in primary gaze with correction. His duction and version were normal; however, his horizontal saccade was notably decreased. Two years and 8 months after presentation, the patient had 15 PD esotropia at distance and near with correction. His duction and version were normal and vertical saccadic eye movements were observed. However, horizontal saccade disappeared. The patient also exhibited a distinguishing head thrust following the order for saccadic eye movement. He was diagnosed with an acquired ocular motor apraxia accompanied with esotropia.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patient underwent bilateral recession of the medial rectus. The usual diplopia and his horizontal esodeviation improved to 3 PD of esotropia at distance. Conclusions: Multiple brain infarcts can result in an acquired ocular motor apraxia accompanied with esotropia. Varying types of ocular motor disorders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a previous medical history of brain infarct.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9):1396-140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갑상샘눈병증 환자의 안와감압술에서 2차원 안와 전산화 단층촬영의 4가지 parameter의 유용성
- 단안의 비측 반맹으로 발현된 내경동맥류
-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의 장기임상효과와 성공예측인자의 분석
- 다발성 뇌경색 후에 나타난 내사시를 동반한 후천안운동행위상실증 1예
- 전층각막이식 환자에서 발병한 Paecilomyces lilacinus 진균 각막염 1예
-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트라닐라스트의 각막혼탁 억제에 대한 펜타캠을 이용한 분석
- 정상인에서 근시가 시야검사에 미치는 영향
- 유리체 낭포에 대한 증례보고 1예
- 두 개의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맥락막두께의 비교
- 경도의 굴절이상을 가진 기본형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후 결과비교
- 방사상각막신경염의 임상양상을 보인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각막염 1예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눈물샘염 1예
- 하안검 이완이 건성안 치료에 미치는 영향
- 홍채앞유착이 있는 환자에서 전층각막이식 시 각막 부분층 박리를 이용한 유착박리술 1예
- 비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와 정상인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비교
- 모반 제거용 이산화탄소 극초단파 레이저에 의한 각막 화상 1예
- 당뇨황반부종 환자에서 이미지 압축이 빛간섭단층촬영 결과 해석에 미치는 영향
- 상품화된 성장인자 제품이 다공성 안와충전물의 섬유혈관화에 미치는 영향
- 연령관련황반변성의 혈관내피성장인자억제제 주사치료 후 발생한 망막색소상피파열의 장기 경과관찰
-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시신경관의 형태 및 위치측정
-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환자에서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맥락막
- 상피제거회전솔을 이용한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과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의 임상결과 비교
- 동안신경 부분마비 및 외향신경마비를 보인 나비굴 암종 1예
- 알레르기결막염 환자에서 눈물 호산구양이온단백질 측정
- 원발성 결막 악성림프종 환자의 임상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Innovation in Legal Practice in the Digital Age - Taking Model-Based Legal Reasoning as an Example
- Interpretation, Integrity, and the Right Answer: An Analysis of the Core Propositions in Dworkin's Legal Theory
- Research on Legal Governanc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