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부표층각막이식술에서 전층각막이식술로 전환한 환자에서 발생한 이중데스메막 1예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of Double Descemet’s Membrane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Converted from Deep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임종찬 김홍균 이준훈,Jong Chan Im, MD, Hong Kyun Kim, MD, PhD, Jun Hun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5,number3, 449~45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double Descemet's membrane in a patient who had penetrating keratoplasty after rupture of Descemet's membrane during deep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DALK). Case summary: A 24-year-old female had keratoconus in her right eye and underwent DALK for treatment. Descemet's membrane was ruptured while separating the corneal stroma from Descemet's membrane with the big bubble technique. The operation method was changed from DALK to penetrating keratoplasty. Detached Descemet's membrane was observed in the anterior chamber after suturing. Sterile air was injec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to attach the Descemet's membrane. Five days after the surgery, Descemet's membrane was detached and a second air injection was performed. Corneal edema was improved but Descemet's membrane was re-detached. Double Descemet's membrane was observed by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The detached Descemet's membrane originated from the recipient's cornea and not from the donor's cornea. Detached Descemet's membrane was removed successfully. Patient's cornea was clear an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25. Conclusions: When penetrating keratoplasty is performed instead of DALK, the surgeon should completely remove the remnant corneal stroma and Descemet's membrane. Remnant Descemet's membrane can be disregarded as it comes from the donor cornea. Unnecessary anterior chamber air injection causes endothelial damage. Anterior segment OCT is a useful tool to identify anatomical structures of transplanted cornea.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3):449-453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렌각막궤양 환자에서 시행한 자가 귀구슬 연골막 이식술 1예
- 갑상샘눈병증에서 발병한 눈중증근무력증 환자의 임상양상
- 한국인 원발폐쇄각녹내장 환자의 중심각막두께
- 한국인 눈꺼풀 악성종양의 임상 양상
- 위눈꺼풀에 발생한 아포크린샘암종 1예
- 각막에 의한 수정체전낭절개의 확대효과
- 덧눈꺼풀 교정술이 난시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
- 상윤부 각결막염 환자에서 베바시주맙과 트리암시놀론 주사를 이용해 치료한 증례 2예
- 섬유주세포에서 국소 탄산탈수효소억제제가 일산화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수정체 초음파유화술 중 발생한 각막화상 1예
- 망막분지정맥폐쇄에서 황반부종 치료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장기 효과
- 시신경 유두 내 그레이 크레센트의 특성과 연관 인자
- 스테로이드 무반응 시신경척수염 환자에서 혈장분리교환술의 효과
- 갑상샘암으로 방사성 요오드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시행 성적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오노디 세포내 곰팡이 덩이에 의한 시신경병증 1예
- 갑상선 눈병증에서 안와 감압술시 정위적 수술항해 장치의 효과
-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발생한 특발성망막앞막의 자연 분리 1예
- 후부다형각막이상증의 임상적 특징과 질병 진행에 관한 연구
- 소아에서 발생한 눈물샘 여러형태샘종 1예
- 고질적인 외사시 환자에서 안구 뒤눈물능선골막 고정술
- 심부표층각막이식술에서 전층각막이식술로 전환한 환자에서 발생한 이중데스메막 1예
- 중증도에 따른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의 공초점주사현미경 소견
- 군날개 삼중수술의 단기결과
- 맥락막 모반의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초음파 소견과의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