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Future Expectations of Cataract Surgery in Korea: KNHANES Ⅳ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임형택 우영제 박현주 김성수 대한안과학회역학조사위원회,Tyler Hyung Taek Rim, MD, Young Jae Woo, MD, Hyun Joo Park, MD, Sung Soo Kim, MD, PhD, The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in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5,number12, 1772~177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factors in cataract surgery in Korea and expect future effect of the bundle of service system. Methods: We analyzed the number of people undergoing cataract surgery and associated factors such as surgery ratio, region, age, income, and insurance status of 28,980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2 (KNHANES). Results: Among total population in 2012, 47.5% of elderly aged 80 years and older have received cataract surgery. According to region in patients older than 40, Jeollanam-do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patients undergoing cataract surgery, at 12%, Daejeon showed the lowest proportion of 3.6%, and Seoul showed 6.8%. Regional analysis was also performed by analyzing the number of cataract patients per ophthalmologist. Jeollanam-do showed the highest with 40,115 patients per ophthalmologist, and Seoul showed the least with 1,094 patients per ophthalmologis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 or income, were not associated with cataract surgery after adjusting for age and regional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 medicaid were associated with 1.6-fold (95% confidence interval, 1.3-2.0) higher rate of cataract surgery than subjects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clusions: Regional disparity was found in the cataract surgery rate and surgery rate per an ophthalmologists, whereas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receiving benefits of cataract surgery. Before the amount of bundled payment is changing, down-leveling of quality of care and deepening of disparities among health care provider should be considered.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1772-1778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주파 전기수술을 이용한 눈꺼풀 표피낭종의 제거
- 두 가지 장비를 이용한 각막곡률 및 각막고위수차의 비교
- 신경외과 수술로 인한 신경영양각막염 환자에서 동일초점현미경을 이용한 각막미세구조 변화 분석
- 근시 환자의 임상진료 시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으로 발견 가능한 주변부 망막 소견 및 유용성
- 녹내장 여과 수술 후 발생한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1예
- 근시교정 굴절수술을 받았던 눈에서 회절형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시각 및 광학 결과
- 눈벌림 마비의 임상 양상 및 경과
- 인공눈물 점안제 종류에 따른 의안 표면 습윤능 비교
- 펨토초레이저 백내장 수술과 고식적 백내장 수술에서 수정체낭원형절개의 비교
- 황반원공수술에서 내경계막제거술의 크기와 술 후 중심와 조직 신장의 연관성
- 특발성 망막앞막에서 유리체황반견인증후군 유무에 따른 수술 결과
- 유리체절제술이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
- 아래눈꺼풀속말림 환자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개선된 퀴커트 봉합술
- 상사시를 동반한 간헐 외사시에서 상사시 교정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깊은 윗눈꺼풀고랑이 있는 눈꺼풀처짐 환자에서의 눈꺼풀올림근절제술 결과
- 특발성 황반전막에서 빛간섭단층촬영상의 형태학적 분류에 따른 수술 전후 망막층별 두께변화분석
- 40세 이하에서 발생한 열공망막박리의 고찰
- 경도의 안구건조증 환자에서 굴절교정수술 전후 0.05% 사이클로스포린 사용의 효과
- 국내 백내장 수술 현황과 향후 전망: 국민건강 영양 조사자료
-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삽입물 주입술 후 발생하는 안압상승에 대한 예방적 안압하강제의 효과
- 녹내장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피기백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 후의 잔존 굴절 이상의 교정 1예
- 접촉식 안초음파를 이용한 하기스 공식의 임상적 유용성
- 표층황반원공에서 유리체절제술의 치료효과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예후인자
- 당뇨망막병증의 전방수내 사이토카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