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내장 수술 전후 이중샤임플러그 전안부 분석기로 측정한 수정체 내부 신호강도
이용수 7
- 영문명
- Internal Lens Signal Measured by Dual Scheimpflug Anterior Segment Analyzer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노진우(Jin Woo Ro) 이가영(Ka Young Yi) 김하경(Ha Kyung Kim) 현준영(Joon Young Hyon) 위원량(Won Ryang Wee) 신영주(Young Joo Shi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5, 702~70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백내장 수술 환자에서 이중샤임플러그카메라를 사용하여 측정한 수정체 내부 신호강도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1월까지 백내장수술을 받은 148명 151안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 전 샤임플러그카메라로 수정체 내부신호강도를 측정하였고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에 최대교정시력과 이중샤임플러그카메라로 상측, 하측, 이측, 비측 전방각의 크기와 전방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수술 전후의 시력을 측정하였고 상측, 하측, 이측, 비측 전방각의 수술 전후의 변화와 수정체 내부신호강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정체내부 신호강도는 수술 전 시력, 수술 전 전방 깊이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287, p=0.001 and r=-0.271, p=0.004). 수술 전후 전방각은 수술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수술 전후의 전방각의 변화량은 수술 전 전방각의 크기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그러나 수정체 내부신호강도는 수술 전 전방각의 크기와 연관이 없었고 수술 전후 전방각의 변화량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결론: 이중샤임플러그전안부촬영기로 측정한 수정체 내부신호강도는 수정체의 혼탁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수정체의 부피를 예측하여 전안부의 구조를 이해하고 백내장수술 후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5):702-708>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internal lens signal measured using dual Scheimpflug anterior segment analyzer (GalileiTM, Ziemer, Switzerland) in patients receiving cataract surgery.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151 eyes of 148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for senile cataracts from February 2012 to January 2013. Preoperative internal lens signals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The depth of anterior chamber and anterior an-gles were measured using dual Scheimpflug anterior segment analyzer preoperatively and 1 month postoperativel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best-corrected visual acuities (BCVAs)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operative internal lens signal and the changes in BCVA or anterior angles were evaluated.
Results: Internal lens signal and preoperative BCVA (log MAR) or preoperative anterior chamber depth were highly correlated (r = 0.287, p = 0.001 and r = -0.271, p = 0.004, respectively). Anterior angles increased 1 month after surgery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values (p < 0.001).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nterior angles correlated with preoperative anterior angles (p < 0.001).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nternal lens sig-nal and preoperative anterior angles or postoperative BCVA. Internal lens signal correlated with changes in postoperative ante-rior angles (p < 0.001).
Conclusions: Internal lens signal correlated with preoperative visual acuity and may help evaluate the cataract severity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Internal lens signal may aid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nterior segments by predicting the lens volume. Knowing the effect of visual impairment due to cataracts and predicting visual improvement after cataract surgery is necessa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02-708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수유출장치삽입술 중 실리콘관 삽입 후 지속되는 얕은 전방을 파이브린글루를 사용하여 치유한 1예
-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병합수술 중 시행한 후낭절제술이 굴절력에 미치는 영향
- 안축장 길이와 시신경 유두의 사상판 두께, 전사상판 두께, 사상판 앞길이와의 상관관계
- 동일초점현미경을 이용한 비쇼그렌건성안 각막 미세구조의 변화 및 임상증상과의 관계
- 눈꺼풀에 발생한 에크린 땀샘종 1예
- 일산화질소가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
- 안내후방콘택트렌즈삽입술 7년 후 발생한 급격한 내피세포 감소 1예
- 비감염성 포도막염 환자의 백내장 수술과 병행한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술의 효과
- 유리체절제술 시 관류액병의 높이와 안압의 상관관계
- 백내장 수술 전후 이중샤임플러그 전안부 분석기로 측정한 수정체 내부 신호강도
- 조절내사시 환아의 장기적 양안시성
- 서로 다른 세 가지 기기로 측정한 중심각막두께 및 전방깊이의 비교
- 일과성 흑암시와 관련된 안과적, 전신적 임상양상
- 실패한 누낭비강연결술에서 내시경적 재개통술 시 실리콘관 삽입 수에 따른 수술효과
- 증식성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후 굴절력 예측
- 각막이식 후 발생한 수여 잔류막에 대한 야그레이저 치료 효과
- 안부대상포진환자에서 다양한 합병증이 동반된 1예
- 반복각막진무름에서 Nd:YAG Laser 치료와 보존적 치료의 비교
- 첫 원시교정안경 착용 후 내사시가 교정되기까지 오래 걸린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
- 미용 목적으로 눈꺼풀에 보툴리눔독소 A 주사 후 발생한 내사시 3예
-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시 큐탄플라스트 사용의 임상적 효과
- 점안 국소 마취와 감시 마취 관리하의 백내장 수술 후 통증 비교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발생한 안와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 1예
- 국내공여각막과 해외공여각막의 전층각막이식술 후 임상 결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