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심지 토사재해 방어기술 실증단지 구축방안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Test-Bed For Mud and Debris Flow Disaster Protection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정민(Lee Jung Min) 김효진(Kim Hyo Jin) 이윤상(Lee Yun Sang) 최종수(Choi Jong Soo) 진규남(Jin Kyu Nam) 심영종(Sim Young Jong)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5년, 63~63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5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토사재해로부터 안전한 삶과 방재환경 확보 차원에서 토사재해 발생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도시기능을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 및 개발될 방어기술의 성능검증 및 적용성 평가를 위한 실증단지 구축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추가적으로 여러 가지 토사재해 방어기술 중 산지에서 인근 도심지의 주요건물로 유입되는 토석류를 막기 위해 토석류의 강도와 피해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변형 토석류차단벽을 설계하였다.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심지에서의 토사재해는 막대한 재산피해 및 사망, 실종, 부상 등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방어시설물과 관련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연구 성과물에 대한 검증 및 관리가 부실하여 실용화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연구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성능검증과 적용성 평가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요소기술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증단지를 구축함으로 개발된 기술들의 연계-통합에 의한 통합관리시스템 개발과 실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orts in the Globe and the Path towards Sustainable Future on Water-related Disaster Management
- 전시부스 참가 (연구)기관
- LID기반 투수성 포장구조체에서의 내구성 개선을 위한 포장보강 그리드 적용성에 대한 연구
- 강우-유출사상에 의한 Clark 모형의 저류상수 추정
- 풍수해 보험관리지도 작성을 위한 보험요율 목적물 DB구축방법
- 도심지 하수관망 구성에 따른 토사 퇴적양상 검토
- 수역 및 흐름 방향 탐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접근법
- 국내 가뭄예보를 위한 GS5 기반의 가뭄전망체계 구축 및 평가
- 기존 청정소화약제와 Novec 1230 비교에 관한 분석
- TTP 피복 경사제 볼록부 안정중량 산정 실험
-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저류조 최적운영에 관한 연구
- 태풍 나크리에 대한 한라산의 산지효과 분석
-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계한 홍수예경보 구축에 관한 연구
- 포항 산불 재현에 관한 연구
- 급속경화궤도 시공이음부의 보강방안 실험적 분석
- UAV 영상과 3차원 참조데이터를 이용한 수변구조물 피해분석방안 연구
-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불확실성 개선
- 수도권 수재해 저감을 위한 X-Net의 후보지 현장 조사
- 수평 곡선 강박스 거더의 곡률에 따른 비보강 플렌지 강도
- 위험도 기반 댐 및 저수지의 안정성 평가 방안 수립
- 방화댐퍼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내수침수해석을 위한 Level-Pool 방법의 적용방안
- 광주댐 치수안정성 확보 및 수질개선
- CMIP5 Extreme 강수의 변화특성 분석
- 학교안전증진을 위한 K-12 학교안전인력과 CCTV업무에 관한 제언
- An Experimental Study on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Strength of Singly Symmetric Stepped I-Beams Having Compact and Non-Compact Flange Sections
- SMI 기법 이용한 장기간 지표유출량 산출
- MWCNT가 혼입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향상 방안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지역통합위험도 평가 기법 개발 및 적용
- 지진해일에 대비한 해안구조물 구축
- 전기화재 예방용 스마트형 분전반에 관한 연구
- 유역단위 침수방지대책의 비용 및 효과 분석
- 지진해일 파력 추정을 위한 임원항 3차원 수치해석
- 중소하천 홍수재해 관리방안
- Climate Change, Water Related Hazards and Disasters: Challenge, Mitigation and Policy in Ethiopia
- 미계측 유역의 저수지 유입량 산정을 위한 연속 강우-유출모형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
- 필댐의 지반 동적특성 평가를 위한 다운홀탄성파시험의 지하수위 관측공 활용
- 해상풍력타워 지지용 버켓기초의 지진하중에 대한 동적거동
- Disasters in The Philippines: Occurrence, Effects, and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Plan
- 지진해일에 의한 방파제 주변 세굴 해석
- 한국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재난관련 교육과정 분석
- 군집분석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물순환 변동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n Experimental Analysis of roof materials to assess fire risk in historical villages -Korea, Japan-
- 지상 LiDAR를 활용한 토석류 피해지의 분석방안
-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위한 친환경 포장도로 연구
- 시료특성 파악을 위한 소형 강우-유출 검증기기의 개발 및 효율성 검증 실험
- IT 기반 업무시설 공간의 화재 특성 분석 연구
- 기후변화에 따른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치수능력 평가
- 지능형CCTV기반 재난대응 선진화 및 재난안전 산업진흥방안
- Airborne SAR를 활용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검증
- 지진응답해석에 의한 역량스펙트럼의 정밀도 분석
- 빈도분석을 통한 확률풍속지도 개발
- 유리 섬유 보강 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 적용 평가
- 광주댐 치수안정 대책 수립 및 산림공원 조성
- 풍력발전타워의 모델링에 따른 동적 거동 특성 분석
- 홍수위험도 작성을 위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도달시간 산정
- 폭우재해 저감적응을 위한 공원녹지 설계 매뉴얼 개발
- 도시 상습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도림천 유역을 중심으로-
- 위기상황 발생 시 철도승무원의 직무현황과 개선방안
-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화산재해 대응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 구축
- 복합재난 대응을 위한 KAIST 재난학 연구소 설립
- 도시지역에서의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법, 제도분석
- 통계적 공정관리 방법을 이용한 관 파단 탐지
- MOUSE Model을 이용한 인천시 서구지역의 빈도별 대피로 선정
- 도심지 토사재해 방어기술 실증단지 구축방안 연구
- 옥상녹화의 최적 토양층 깊이 산정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형 풍수해 피해 예측 기술 개발 방안
- 면진받침용 폴리우레탄 스프링의 역학적 특성 분석
- 시변성 사면안정해석모형을 이용한 2011년 우면산 산사태 모의
- 지진 및 지진해일 대비 중앙행정기관 업무연속성관리 프레임워크 개발
- 암석의 균열밀도에 대한 고찰
- 에듀테인먼트 기반 학습자 맞춤형 재난안전 콘텐츠에 관한 탐색연구
- 침수저감을 위한 빗물펌프장 최적운영 목표
- 해안선 추출을 통한 주파향각 계산 프로그램 소개
- SWAT 모형을 적용한 유역관리 우선순위 설정 방법연구
- 횡월류에 의한 점진적 제방붕괴의 동수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달 특성을 고려한 선하역사의 진동 저감 성능 평가
- LWD를 활용한 교면포장 내부파손 평가 연구
- 외국인 건설 근로자의 재해발생 매커니즘 분석
- 24절기에 따른 대구지역 강수량 변화 분석
- 풍수해 피해 예측을 위한 도시 시설물의 강풍취약도 평가
- 특수재난지역 최첨단 정찰 및 원격제어시스템개발
- 재난재해 GIS 디지털 맵의 효율적인 압축 기술동향
- 모듈러 주택용 강재의 건식피복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재해저감 도시설계기법 시설물 적용 시스템 개발
- 회복탄력성있는 마을만들기에 관한 연구
- 레이더를 활용한 수문기상 모니터링 시스템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 방사능재난 대비 간호역량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 온천천 유역 수문지형학적특성을 고려한 LID 기법 유출저감효과 분석
- 강우계의 공간분포가 레이더 강우 보정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산지 임도사면 안정화 공법 개발 및 이의 활용성 평가
- 철도시설물의 내진 및 면진 설계 현황 및 개선 방안
- 지반정수 변화에 따른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시가지 내수침수 방지대책 적용을 위한 지역구분방법 비교분석
- 투수성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에 따른 강도 및 투수성 분석
- 기상재해가 유입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4년 2월 강원도 대설사례를 중심으로-
- 태풍 이동경로에 따른 재해의 공간분포 특성
- 빗물펌프장 운영에 의한 내수침수 저감 : 가산빗물펌프장
- 적설 단위 중량을 고려한 우리나라 설해위험지도 개발
- 강우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재해 정의 및 특성 구분을 위한 연구
- 부정류 조건에 의한 빗물펌장 흡수정 와류 3차원 수치모의
- 토석류 위험구역 설정과 재해 후 항공사진을 이용한 유효성 검토
-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표준화 연구
- 도시 및 산업단지 지하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염
- 수상에서 재난 감시를 위한 로봇의 경로 계획 연구
- 산림 내 주요시설 지역 산불위험요소 판단을 위한 AHP분석
- 옥내용 내화뿜칠재의 촉진내구성 평가방법 연구
- 전기아크 펄스 사고 예방을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에 관한 연구
- 지구물리탐사 기법을 이용한 투수계수 산정
- A Study on the Effects of Load Height on the Inelastic Lateral Torsional Buckling Strength of Doubly Stepped I-Beam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침수심 깊이에 따른 건축물에 작용하는 해일파압
- 백두산 화산재 확산의 보건의료종합대응 연구
- CCTV를 활용한 가곡천 하구폐색 모니터링에 관한 기초연구
- 환경공학도를 위한 수질 예측 모델 개발
- 에코매직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 FLO-2D를 활용한 토석류 거동 인자의 통계적 추론 분석
- 가강수량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발생 판단의 정확성 향상
- 지수함수 형태의 직립제 월파량 산정식 개발
- 복층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성능 유지 방안 검토 및 생애주기 비용 분석
- 인구 통계적 관점에서의 서울시 자연재해 취약성 평가 분석
- 콘크리트블록으로 피복된 수중구조물의 안정성 실험
-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표면영상유속계의 적용성 검토
- 광학적 연기밀도 측정을 위한 저가 장치 개발
- 도심지 토사재해 방재시설 생애주기별 관리항목 및 업무프로세스
- 침투트렌치의 성능 분석
-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지역 홍수재해저감종합대책 수립방안
- 토석류 재해 유발인자에 따른 건물의 물리적 취약 특성
-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기반한 기계적 특성 정의
- 금강 중소규모 유역의 기저유량 평가
- 화학적 영향을 고려한 토목섬유-흙 접촉면의 동적 전단거동
-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북한 침수현황 모의(공유하천)
- SK-Planet 자료를 이용한 도시홍수 방어에 관한 연구
- Semi-parametric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ling for Flood Damage Assessment in Gunsan City, Korea
- 토석류 모형실험을 위한 3D프린터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 수자원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물지수 연구
- Fragility curve를 이용한 하천제방의 파괴확률 산정
- 토석류 발생예측의 강우기준에 대한 DFG 곡선 작성
- 철도침목의 현황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발전 전망
- 목업실험을 이용한 구형 및 신형 창호시스템의 내풍저항성능평가
- 침투도랑 설계를 위한 수질처리용량
- 선행하중재하공법이 적용된 해성점토지반에서 전기삼투공법의 효과
- 태풍-풍속에 의한 최대 파고 자료 활용 모의기법 개발
- 교통 및 도시 인프라와 재난재해
- 도시홍수 저감을 위한 최적의 내배수시설 설계 연구
- 산악지역 토석류 유동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FEM수식화
- 연안 토사 침식 저감을 위한 사석호안 개발
- 도시기반 라이프라인의 지진위험도 평가
- 멀티프랙탈 기반의 시ㆍ공간 격자강우장 생산기법의 적용성 평가
-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농촌지역 재난이력 조사
- 토사재해 관련 법ㆍ제도 및 피해 유형화 분석
-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재해원인별 가중치 적용 기법 개발
- 재난 예방을 위한 시설물 등급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 ICT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시스템(스마트빅보드)개발
- 재해대응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분산정보 공유형 인벤토리 통합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탈선열차에 대한 방호 특성 평가
- GIS 기법을 활용한 강원도 사방댐 설치 유역의 지형적 특성 분석
- 국내외 방재기술인증현황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도시기반 네트워크 가스시설물의 지진 취약도 모델 개발 및 GIS 적용
-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따른 도시지역의 물순환 변동 평가기법의 개발
- 국내외 현황조사를 통한 도심지 토사재해 통합관리방향 수립
- 풍해 위험도 평가를 위한 시설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교량상 급속경화궤도 적용성 분석
- 건설 노무자 아차사고 식별 방법
- 도달거리 산정모델을 활용한 토사재해 위험구역 구획
- 공공시설 내 빗물유출 저감시설 도입 방안
- 연속된 원형강관을 이용한 자전거 보도교의 해석적 평가
- 초음파영상화기법을 이용한 수난구조탐색시스템 개발
- TRMM 위성자료를 활용한 한국의 고해상도 강수정보 개발과 평가
- 내외수 연계 내배수시설 최적운영 시스템 개발
- 내외수를 고려한 빗물펌프장 조기가동 효과 검토 연구
- 하상경사변화에 따른 토석류의 침식/퇴적
- 보-기둥 접합부의 방폭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금호강 유역의 수자원계획
- 수치모형을 이용한 연안에서의 토석류 모의
- 위성강우 활용 비접근지역 유출분석
- 방재정책 의사결정 제고를 위한 수해통계 수준평가 방안
- 휨 실험을 통한 반구형 접합부(HAT Joint) 성능평가
- 다중 시나리오 기반 재난대응 의사결정지원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전라북도 재해예방 현황과 과제
- 저수지 제도적 위험관리 선진화 방안 연구
- 사회ㆍ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통합지진재해위험도 평가
- 백두산 화산에서 수치모형 분석에 의한 화쇄류의 영향 범위
- 한국형 재난안전 위성센서 개발을 위한 재난유형별 위성센서 적용성 평가
- 지역별 진도변화를 고려한 실시간 액상화 위험도 작성 연구
- 재해정보지도의 표준모델 개발 및 통합 활용 기법 연구
- 노후 댐 성능개선을 통한 수원지 안정화 방안
- Fall3D모델에 의한 화산재 확산의 3차원 가시화 방안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GCM Multi-Model Ensemble Technique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 유해화학물질 누출시 토양ㆍ지하수오염 예방을 위한 취약성평가 framework 도출
- 강우레이더자료를 이용한 장기 강우-유출해석의 적용성 검토
- 풍해 위험도 평가 시스템을 통한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적용 방안
- 산지 탐방로의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항공ㆍ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국내외 현황 및 개선방안
- 터빈 자중에 의한 대변위 효과를 고려한 내부구속 중공 RC 풍력타워 거동 분석
- 우주전파재난 감시와 대응체계
- 대형 해양 재난 대응 기술 및 구난 기술 연구개발 소개
- 영상기반 균열인식 알고리즘 검증을 위한 모의균열 특성 분석
- 안심국토 실현을 위한 권역별 물재해 취약지역 개선방안
- 오픈데이터 기반 하천공간정보 관리 및 공유를 위한 표준 준수 연구
- Bayesian 모델 평균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극치수문사상의 앙상블 전망
-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시설물 취약성 분석 기술
- 특수재난현장긴급대응기술개발사업의 연구과제 동향
- 시각장애인 이동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
- 화산재 피해예방 및 저감을 위한 사회기반시설관리기술 개발(정보통신분야)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재난정보의 전달특징 분석
- XP-Drainage 모델을 이용한 LID 시설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 입사각에 따른 혼성제 근고부 안정중량 실험
- 충돌해석을 통한 투과형사방댐 거동분석
- Effects of low concentration of clarithromycin to Danio rerio after acute exposure through metabolic analysis
- 불확실성 SWMM 모형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 도시철도 터널내 흡음벽 설치방안
- 직렬 아크사고 예방을 위한 전기화재 보호장치 개발
- 기후변화에 따른 경안천 유역의 홍수범람 모의
- 빗물받이 유입구 차집량 산정
- SWMM-LID 모형구축을 통한 LID 요소기술별 성능평가 -실증단지를 중심으로
- 3D 인벤토리를 이용한 도심지 토사재해 예측 3D 시뮬레이터 개발
- Network Theory 기반 새만금 방조제 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 산지재해 위험성 분석을 위한 LiDAR자료구축
- 전력ㆍ통신 시설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 평가
- 리프 지형에서의 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지역 터치포인트와 퍼소나, 두려움지도 개발
- 토석류 충격력에 의한 유도벽 영향성 검토
- 공간-변동 Clark 단위도와 기존 Clark 단위도의 비교평가
- 1ㆍ2차원 홍수범람해석 모형을 이용한 월류 및 파제 시나리오 분석 비교
- 학교시설 CPTED 우선지원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 대기오염수준과 강우 -ASOS, AWS, RSA의 강우자료간 차이에 대한 연구-
- Water-Energy-Food (WEF) Nexus considering Climate Change
- 상향 침투 특성을 고려한 모래의 유변물성 특성
- 영동해안지역에서 기상재해를 일으킨 대형 대설 사례에 대한 종관 특징 연구
- GIS기반 풍해위험도 평가시스템 개발 연구
-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Wall Thickness for Composite Pipes using Sewage Pipe Renewal Method
- 항공안전관리 제도 변화에 따른 재난UAV 운용 전략
- 시설물 위험도 평가 기반 재난대응관리체계 개발 방안
- 이중관 충전콘크리트 기둥의 거동 분석을 위한 수치해석 기법
-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Bridge Scour Monitoring based on Unscented Kalman Filter
- Performance of woodchip biofilters to treat piggery stormwater
-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따른 물순환 특성의 정량적 평가기법 및 적용 연구
- 화산재해 대응을 위한 물 환경 재난관리체계 개발
- LAHARZ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이류 피해범위 연구
- 폭염으로 인한 피해 경감대책 방안 연구
- 화산재 확산의 보건대응
-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 따른 도암댐 유역에서의 유출 및 유사 예측
- 반응시간에 따른 아질산화 반응조 내 질소 화합물 변화
- 施設安全管理를 要하는 建築物의 實態分析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기상자료 편의보정 모델의 적정 시간 규모 분석
- 지반조사를 위한 정적 및 동적 콘 관입기 개발
- 도시 기후변화 폭우재해 적응 안전도시 기술 개발
-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우와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연안도시의 침수모의
- 북한 홍수 모니터링을 위한 우선지역 결정
- 국내 대표 송전철탑의 지진 취약도 함수 개발
- 소수력발전가능 평가를 위한 앱 개발
- 수재해에 의한 교량의 피해메커니즘에 대한 고찰
- TTP로 피복된 경사제의 처오름높이 산정 실험
- Pedigree matrix를 이용한 불확실성 매개변수 선정
- 지하방수로 유동 예측을 위한 1차원 수치모형의 보정 및 검증
- SWMM 모형의 유역분할 방법 및 하수관로 정보 단순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파괴에 대한 피복두께의 영향
- 백두산 화산분출물을 활용한 블록의 수질정화 특성
- 도로복구를 위한 레고식 차도블록 시스템의 동적 해석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filter media design configuration in the clogging formation in stormwater filters
- 철도궤도에 대한 사막 모래의 비산 및 퇴적 현상 예측 기법 고찰
- 확장역거리가중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유량-지속시간 곡선 산정
- 수치모형을 이용한 세종보 상류의 하상변동 예측
- 산사태 발생 우려지역에 대한 합리적인 조사 방안
- 산업부산물 활용 아스팔트 도로포장 재료 개발
- KED 기법을 이용한 최적 강우장 추정
- Buckling Safety Analysis of Circumferentially Edge-Stiffened Openings in Offshore Tubular Steel Towers under Normal and Abnormal Design Situations of the Ultimate Limit State through Parametric and Finite Element Analyses
- 피라미트기초의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전성에 관한 연구
- 국내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의 지반위험도평가 기능 탑재 및 활용방안
- 마찰진자시스템의 마찰계수 변화에 따른 면진된 원전구조물의 응답평가
- 나노압입을 이용한 나노실리카 콘크리트의 시멘트 매트릭스 미세구조 분석
- 방재분야 ODA사업 확대를 통한 글로벌 재해위험 경감
- 도심지 토지이용용도별 토사 제어 관리 기술 적용성 평가
-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재난관리 역량 연구
- 자연재해 위험 완화를 위한 국가적응계획: 국내외 동향
- 배수관망내 탱크의 최적조합 결정 방법
- 침수피해 곡선을 이용한 다차원법의 정확도 분석
- 지반다짐 및 굴착현장의 방재를 위한 Single-handle 다짐평가장비의 개발
- 배수로 막힘방지를 위한 거름시설 개발 연구
- Tuflow 모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해석 모의
- 외부 보-기둥접합부 실험을 통한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의 정착성능평가
- 극한강우 산사태 입체 모니터링을 통한 산사태 예ㆍ경보기술 연구
- 비닐하우스의 적설심 기준 평가 및 개선방안
- 우선순위 의사결정을 위한 네트워크 레벨의 시설물 투자 대상 시나리오 분석에 관한 연구
- 유체-구조 연성해석을 통한 Radial Sluice Gate의 피로해석
- 격자기반 지표수문모형의 공간해상도에 따른 유출모의 평가
- AWS 자료를 이용한 서울 지역의 강우관측망 평가
- 백두산 화산재의 확산 및 피해 예측
- 도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발령기준 강우량 선정 타당성 검토 연구
- 역T형 옹벽을 활용한 나이팅게일 가든 건설
- 열적 비정상상태의 일차원 온도분포 시간이력으로부터 열전도도를 추출하는 수치적 방법
- 나노압입을 이용한 구조용 강 용접부의 미세구조 분석
- 국내 댐 재개발 우선순위 평가 기법 비교
-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풍수해보험통합관리시스템의 효과적 개발 방향 연구
- 도심지 토사재해 정밀위험도 평가 연구
- 골재 노출형 숏크리틀를 이용한 경관 옹벽 시공방법의 기초연구
- 도심지 대상 토사재해 해석 시뮬레이터 개발
- 새로운 도시재난관리시스템 구축 전략
- 토석류에 의한 건물의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세대내 경량벽체 화재안전 성능기준 설정
- 하천공간정보에 대한 OGC 표준 기반의 WMS 적용 방안
- 철도 궤도의 진동저감을 위한 쐐기를 이용한 방진장치의 개발 및 거동시험
- 제7차 세계물포럼 과학기술과정 월드워터챌린지
- 화산재해대응시스템 활용 및 고도화 방안연구
- 비닐하우스의 적정 설계 적설심 산정
- 평면 정형과 비정형 구조물의 지진응답평가
- 광역상수도 노후관 최적개량시기 결정
- 댐의 발전방류량 변화로 인한 하류하천의 어류서식처 변화 모의
- 후쿠오카 지역 발생 지진의 Coda파, 배경잡음 및 S파 에너지를 이용한 관측소의 증폭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혼합토지이용지역에서 비점오염물질 배출특성 비교
- 한국형 원격조정 파괴방수차 개발
- 모듈형 DSCT 풍력타워 연결부 성능 해석
- 왜 안심이 안전만큼 중요한가?: 재난 거버넌스의 필요성
- 공간자기상관성을 고려한 화재발생 요인별 특성 분석: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RCP8.5기후변화시나리오와 준분포형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만경강유역의 수문순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
- 복층 저소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소음 저감 및 유지 방안 연구
- 아시아 몬순지역의 연평균 유출량의 경향성 분석
- 반구형 접합부(HAT Joint) 시공 프로세스 및 경제성 검토
- 지진해일 거동해석을 위한 3차원 수리 실험
- 가능최대지진해일에 의한 지진해일 침수피해특성 분석
- 대구경 PHC PILE 시공에 관한 연구
- 쇄파대 지형변동 수리 실험 연구
- 기후변화에 따른 PMP 산정의 국내 및 국외 문헌 조사
- 오픈 데이터 관련 플랫폼 동향분석
- 은닉 마코프 모형을 활용한 RCP 8.5 시나리오에 따른 기상학적 가뭄의 확률론적 평가
- 지표면의 적외선 화상을 활용한 지층 구조 추정방법에 대한 연구
- 규제이론과 규제정책
- 순서형 프로빗을 활용한 강설상황 시 교통사고 심각도 모형 개발
- UM모델기반 실시간 화산재 확산 시스템 개발
- 파쇄암에 대한 그라운드 앵커의 크리프 특성
- 지진해일이 완도항 남해안 지역에 미치는 영향 검토
- 기후 및 기상 변동성에 기인한 유량 및 수질 변동성 모의
- 모듈러 DSCT 풍력 타워의 거동 연구
- 화산재 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축산업분야 관리기준 개발
-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과 범람에 따른 침수피해액 분석
- Bayesian 기법과 연계한 SWMM 모형의 최적화 모형개발 및 불확실성 분석
- 하구 댐에 의한 해안의 순수 표사량 감소율 계산
- 중금속흡착제로서 고로슬래그의 사용성 검토
- 도넛형 중공 슬래브의 휨 및 전단 거동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도시하천의 유출량 산정
- VOF Multiphase 모델을 이용한 해양구조물의 세굴수치모형
- 지압식 영구앵커의 인발저항 특성
- 전방 입자 추적법에 의한 난류 확산 모델에 관한 연구
- 수치모형을 이용한 세종보 상류의 단ㆍ장기 하상변동 예측
- 2차 감세지를 활용한 보 하류 감세효과 수치모의
- 승강장-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역사진동 저감방안 개발
- 적정 통수능 및 경제성을 고려한 도심지 우수관거시스템 설계분석
- Inundation Analysis of Coastal A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포스트텐션 NSM 보강공법의 해석적 연구
- 수위노모그래프 기반 자연유역 중소하천 홍수예보기법 개발
-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재해방지를 위한 적응 대책
- 기후변화를 고려한 배수관련 기반시설 설계를 위한 비정상성 I-D-F곡선 작성
- 백두산 화산재 재해 시나리오의 리질리언스 비용 추정연구
- 장대철도터널용 레일로드형 특수소방차량개발
- 장주기 성분 지진에 대한 예측 거리산정식 분석에 관한 연구
- 토석류 해석을 위한 주요입력변수 추정방법
- 도심지 토사재해 위험구역에서 일상조사점검 기준 연구
- 슬릿트형 사방댐의 위치 및 배치형태에 따른 토석류흐름에 대한 영향
- 폐합형 배수관망에 대한 부정류 모델 개발
- 반도체 공장 내의 클린룸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연소 특성 연구
- Vulnerable people on Disaster and Emergency Situations
- 광촉매 나노입자 코우팅 제올라이트 여재를 이용한 용존성 중금속 제거
- Evaluation on the hydrologic effects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after applying an infiltration trench and a tree box filter as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 호안형태와 배열별 반사파 감쇄효과 분석
- 철골 중간모멘트 골조의 높이에 따른 풍하중의 영향 분석
- 단면증대 무근콘크리트 기둥의 축성능 평가
- 기후변화 대비 물발자국 활용을 위한 타당성 분석 연구
- 망입 유리 붙박이창의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지역특성이 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화문의 하드웨어 적용에 따른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 상수관망시스템의 지진복구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스마트빅보드 사용현황 분석을 통한 시스템 개선방안 도출
- 지표면의 적외선 화상을 활용한 지층 구조 추정방법에 대한 연구
- 우리나라 지진 대응시스템의 현재와 미래
- 국부세굴을 고려한 교량의 지진 응답 평가
- 영구변위를 통한 지진에 대한 산사면의 위험도 예측
- 현대 고령인구의 특성을 고려한 공연문화시설에서의 피난안전계획 수립 및 평가 -서울지역 영화관을 중심으로-
- 도로복구를 위한 레고식 차도블록 시스템의 다짐 성능 시험
- 지하공간 침수예측모형 개발 및 적용
- 구스아스팔트로 시공된 사장교 강상판 바닥판에 대한 열영향 특성
-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용수공급능력 평가 기술
- 델파이기법과 AHP를 이용한 대전시의 재난 위험요소 선정
- Accumulated SIBIE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결함탐사
- Risk Map 실시간 동적표현기술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사례 분석을 통한 소셜 방재 생태계 구축 방안
- 모바일 기반의 양방향 제방취약성 평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고밀도 강우자료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실시간 품질평가기법 개발
- 저류지에 대한 부정류 흐름의 FLUMEN 적용성 검토
- 계획 토석류 서지에 관한 연구
- 관측자료 지연시간 극복을 위한 초단기 예측기법의 적용성 평가
- 유역의 경사도와 유출곡선의 가중평균 방법에 따른 유효우량의 비교ㆍ분석
- 인공위성 기반 가뭄 지수를 통한 지역적 가뭄 분석
- 포장수력이론을 통한 북한의 발전수자원 가능량 조사
- 지역특성과 지형을 고려한 방재도로 선정기준 기초연구
- 철도 안전성 향상 노력과 위험성 진화 과정
- 경계면 포착기법을 이용한 토석류 수치 모델링
- 저토피 풍화암 지반의 터널 안정성 해석 및 시공에 관한 연구
- 도시지역 물순환 및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식생체류지 개발 및 평가
- 비내섬 습지의 침수심에 따른 식생서식환경 분석
- 농업용 소규모 저수지붕괴에 따른 침수지역 산정
- 풍수해 재해 시 보행속도에 따른 현존 대피소의 수용범위 분석
- 국가기반시설 보호를 위한 CPTED 기법 적용
- 화재 시 승강기 카 내부의 화재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 토석류 해석을 위한 RAMMS모형 적용
- TDR을 이용한 쏘일네일의 철근길이 평가
- 과거 관측 강우에 따른 1일 PMP 산정 및 분석
- 대규모 복합피해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복구공법 연구
- 다목적댐의 유입량/방류량 변동특성 분석
- 통일 대비 북한의 수자원 현황 분석
- 지상관측자료에 기초한 남한 전역의 지진 규모 및 발생빈도 분석
- SWMM을 이용한 내수침수 위험성에 관한 연구 -인제읍 합강지구를 사례로-
- 관망해석을 통한 도시유역의 저류용량 검토
- 도심지 토지이용용도별 토사 제어 관리 기술 적용성 평가
- 지표 전기비저항을 활용한 간극률 산정
- 전시부스 및 포스터세션 발표 배치도
- 제7차 세계물포럼 과학기술과정 특별프로그램 : CEO Innovation Panel
- 만곡수로 내 수리구조물에 따른 난류흐름 특성변화 실험 연구
- 지중 누수경로 매핑을 위한 Willowstick 탐사의 적용성 연구
- 다목적 인공습지의 홍수저감 및 수질개선 효과 분석
- 율정길 확장을 위한 암거설계
- 수변구조물 통합안전관리 플랫폼 개발 방안 연구
- Development of ANFIS-based model for prediction of droughts
- 해안항만 수리모형실험의 설계적용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개선방향
- 소규모 건설 현장 재해 감소를 위한 민간위탁사업 효과
- Characterization of Internal Phosphorus Releasing Risk in Lakes with Sedimentary Environments of Soil Inundation: Perspectives from Speciation of P, Fe, and Al
- 지자체 적응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Flood Simulation and Economic Analysis Considering Stormwater Drainage Pumping Stations
- 기상인자 및 공간정보를 활용한 Bayesian 지역빈도해석기법 개발
- 철도 역사 플랫폼 단부용 소음저감장치 개발
- 레인가든의 침투성능 및 유출저감효과 평가
- 지방자치단체의 비상대응계획에 관한 연구 -강원도 삼척시를 중심으로-
- GIS 분석을 이용한 관측풍속 균질화 방법 검토
- 빗물펌프장 흡입부 주변 흐름특성 검토를 위한 3차원 수치모의 검증
- 강우관측소의 공간분포에 따른 면적평균강우량 추정오차분석
- Implications on Social Inclusiveness in Climate Resilience: Case Study of Urban Flood in Seoul
- Development of Multivariate Flood Damage Function for Flood Damage Assessment in Gunsan City, Korea
- 확률대응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 추정관계식의 매개변수 결정
- 풍수해위험지수를 활용한 지역별 방재기상특보 기준 설정기법
-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시방안에 관한 연구
- 이용자조사를 위한 하이브리드 플랫폼 적용을 통한 범죄취약지역 거주자 만족도 영향요인 규명
- 한반도 영향 태풍사상에 따른 강우특성 및 종관기후학적 분석
- 쐐기형 핀바를 이용한 다중 프리스트레스트 거더교의 LCC 분석
- 현장타설형 콘크리트 궤도 도상의 균열 해석
- 기상재해의 발생원인 및 피해 분석
- 단일현장타설말뚝-교각 연결부 휨거동 실험평가
- 산불방지 학생교육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와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 수변구조물 스마트 피해복구 지원시스템 개발
- Numerical modelling of morphodynamics in open channel flows
- Derivation of a Time-area Curve for an Elliptical Shaped Basin
- 홍수위험도 분석에 의한 홍수위험지구 선정 연구
- 도시지역 초기유출수처리를 위한 상향류식 여과시스템의 성능평가
- 효율적 재난구호 활성화 방안 연구
- 일본 농업재해제도와 방재사업
-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토양침식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 지질별 풍화토층의 붕괴심도 및 ASTER 위성영상 분석을 활용한 산사태 분석
- 초단기 및 단기 강우예측 기법 개발
- 백두산 화산분출물을 활용한 블록의 수질정화 특성
- 고강도 그라우트재를 적용한 해상 풍력 발전 타워자켓-파일 연결부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 분석
- 수정 HGM 방법을 적용한 임진강 하도습지의 기능평가
- The photocatalytic disinfection capability of a solar simulator with self-rotating nanotubular TiO2 and reactor system on roof-harvested storage rainwater
- 효과적인 재난 대응을 위한 모델링 & 시뮬레이션 활용
- 객관적 재난 원인규명을 위한 분석 방법 비교
- 재난과 범죄: 이론 고찰
- W형 거더를 이용한 생태이동통로의 개발
- GIS 기반의 토사재해 위험도 평가 모델 비교 분석
- RCP 시나리오를 활용한 동아시아 지역 토양수분 예측
- 제7차 세계물포럼 및 과학기술과정 추진현황
- Introduction of Main/Sub focuses in Science and Technology process
- 빗물이용을 위한 LID 시설의 지붕유출수 처리 효율 평가
- 도심지 내 토사재해의 사회경제적 취약성 평가
- 기후정보를 활용한 위천 유역 장기 수질 예측성 평가
- 고속도로 토석류 산사태 예방적 방재 정책
- 제7차 세계물포럼 과학기술과정 백서
- 기후 변화에 의한 극한 강수 지수의 변화
- FRP로 보강된 장방형 콘크리트 기둥의 구속효과에 대한 형상계수 영향력 평가
- 시간영역반사법이 도입된 압력판 추출시험기 구축 및 활용
- A Parametric Study on the Elastic Lateral-Torsional-Vertical Buckling Capacity of Horizontally Curved Twin I-Girder Systems Considering the Effect of Curvature and Girder Spacing
- 나노 입자와 시멘트로 보강된 조립토의 강도특성 연구
- 초고층빌딩 수직화재 확산 평가를 위한 교정 시험 연구
- 국내ㆍ외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비교 연구
- Mechanical Prestressing of Segmental Type Steel H-Beam
- 장주기 성분 지진파에 의한 고층건물 내의 비구조재손상평가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 SMOS위성 토양수분 수득률 및 알고리즘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