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Phacodynamic Effects on Postoperative Corneal Edema Between 2.8 mm and 2.2 mm Microcoaxial Torsional Phacoemulsific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진호 이혜진 이선호,Jin Ho Jeong, MD, PhD, Hye Jin Lee, MD, Sun Ho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4,number5, 709~7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effects of phacodynamic parameters on postoperative corneal edema between 2.8 mm and 2.2 mm microincisional coaxial cataract surgery.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design was conducted and included 144 cases randomly divided into 2 coaxial cataract surgery groups based on incision size, a 2.8 mm incision (n = 72) or a 2.2 mm microincision (n = 72). The cataract was graded using the lens opacity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 The total ultrasound time (TUT), cumulative dispersed energy (CDE), average torsional amplitude (ATA), fluid amount, and case time were measured for each surgery.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was measured preoperatively, and 1 day and 1 month postoperatively. Intraoperative parameters were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corneal edema. Results: The average nuclear opacity, intraoperative parameters, and postoperative corneal edem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2 surgical groups. Regression analysis showed corneal edema to be significant in ATA (p = 0.028) in the standard (2.8-mm incision) coaxial group, whereas edem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UT (p = 0.001), CDE (p = 0.001), fluid amount (p = 0.021), and case time (p = 0.027) in the microcoaxial (2.2-mm microincision) group. CCT returned to baseline with an increase of 1.8% at 1 month. Conclusions: In the microcoaxial group, sustained ultrasound exposure and prolonged case time caused moderate postoperative corneal edema, while ATA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standard coaxial group. These data can be used to devise an effective surgical strategy for cataract treat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후부판모양맥락망막염에서의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멥 선행 치료 후 임상경과
- 2.2 mm 및 2.8 mm 절개 백내장 수술에서 초음파 동역학이 술후 각막부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양악수술 후 발생한 코눈물관막힘 1예
- 전층각막이식술을 받은 5세 이하 환아들의 수술 성적
- 공막노출법으로 익상편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내사시의 임상양상과 치료
- 백내장 및 유리체절제 동시 수술 후 발생한 조기 낭폐쇄 증후군
- 간헐외사시에서 억제가 안축장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사시수술 후 발생한 안와 연조직염
-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진균 각막염에서 전방내 보리코나졸 주입술의 임상 효과
- 에이디 긴장성 동공의 임상양상
- 동맥관개존증과 그 치료 방법이 미숙아망막병증에 미치는 영향
- 전층각막이식술 후 발생한 데스메막 잔류 1예
-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시신경유두 형태 비교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양안 주변부궤양각막염 1예
- 녹내장 치료 시 점안약 치료 후 안부작용에 관한 연구
- 재발성 상안검농양으로 발현된 Pott’s puffy tumor 1예
-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후 유리체탈출에 의해 발생한 동공차단 및 안압상승
- 경기 서북부 지역 검열반의 임상양상
- 코우덴 증후군과 연관된 다발성 눈꺼풀 모종 1예
- 신생혈관녹내장에서 아메드밸브삽입술의 장기 결과와 베바시주맙의 전방내 주사 효과
- 황반전막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 형태에 따른 수술결과
-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 후의 안압 및 맥락막두께의 변화
- 접촉식 초음파와 부분결합간섭계를 이용한 생체계측시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 예측의 비교
- 칸디다와 세균의 복합 각막염 5예
- 광범위한 장액성 황반부박리를 동반한 푸르처망막병증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Innovation in Legal Practice in the Digital Age - Taking Model-Based Legal Reasoning as an Example
- Interpretation, Integrity, and the Right Answer: An Analysis of the Core Propositions in Dworkin's Legal Theory
- Research on Legal Governanc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