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 전후의 황반두께 변화
이용수 2
- 영문명
- Changes in Macular Thickness after Cataract Surgery According to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유재호 김수영 이승욱 이상준,Jae Ho Yoo, MD, Soo Young Kim, MD, Seung Uk Lee, MD, Sang Joon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2, 246~25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changes in central subfield macular thickness (CSMT)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fter cataract surgery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macular edema.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consisted of 55 eyes of 50 patients who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All of these eyes were assessed by OCT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fundus examination before and one month after surgery. CSMT was measured based on a central thickness of 1 mm, and macular edema was defined as an increase of CSMT in 30% or more after surgery than before. Results: CSMT significantly increased by 22.2 ± 47.10 μm at 1 month after cataract surgery in the operated eye compared with the fellow eye (p = 0.01). The diabetic retinopathy group and hypertensive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s than the non-diabetic and non-hypertensive group. Macular edema developed in seven of 55 eyes (12.7%), and they consisted of five moderate or more severe diabetic retinopathies and two epiretinal membrane. Four weeks after surgery, the macular edema group showed more decrease in visual acuity; however, the CSM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types of surgical incision, HbA1c or other factors. Conclusions: CSMT increased in the operated eye after cataract surgery, especially in eyes with diabetic retinopathy and hypertension. Moderate or more severe diabetic retinopathy and macular lesions such as epiretinal membrane increased the risk of macular edema after 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2):246-255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리콘관 삽입술로 치료한 후천 눈물주머니낭종 1예
- 180도와 360도 선택적 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안압 하강효과 비교
- 만성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맥락막과형광에 따른 광역학치료 효과 비교
-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3개월 임상결과 및 만족도 비교연구
- 천공된 세균성 각막염에서 목시플록사신 함유 강화양막이식술의 임상적 적용 2예
- 건성안 환자에서 페놀레드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 수평사시에서 조정수술과 비조정수술의 성공률의 장기적 추적관찰
- 양막이식술을 이용한 군날개 제거술에서 마이토마이신 C의 효과
- 생체 내 분해 콜라겐기질을 이용한 섬유주절제술의 임상적 소견 및 임상 효과에 대한 분석
- 다초점 렌즈 삽입술 후 시력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목표 굴절력 결정에 대한 연구
- 유수정체용 전방각지지렌즈 삽입 후 각막내피세포의 장기 변화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의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장기효과
- 눈물주머니에 발생한 연소형 황색육아종 1예
- 변형된 방추형결막절제술 및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에 의한 퇴행성 눈꺼풀겉말림의 교정
- 일시적인 시력저하로 발견된 모야모야병
- 알파1-교감신경길항제가 수정체유화술에 미치는 영향
- 근거리‐원거리 사시각 불일치를 보인 외사시에서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의 효과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의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및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병합요법
- 목시플록사신만으로 치료된 푸사륨 진균 각막염 1예
- 갑상선안병증 환자의 일차배양한 안와섬유모세포에 대한 알파-토코트리에놀의 항섬유화 효과
-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무색 인공수정체안과 황색 착색 인공수정체안의 대조민감도 및 색각 비교
- 정상안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안압과 안구계측치의 변화
- 당뇨황반부종에서 안내 베바시주맙 치료 후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망막 혈관 직경의 변화
-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 전후의 황반두께 변화
- 자가윤부결막이식술을 이용한 군날개 제거술에서 결막하 섬유혈관 조직의 광범위절제술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