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외상의 통계적 고찰과 안외상 점수를 통한 평가
이용수 2
- 영문명
- A Statistical Observation of Ocular Injuries and Visual Predictive Value of Ocular Trauma Scor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유준호 이화 이종미 이태수 백세현,Jun Ho Yoo, MD, Hwa Lee, MD, Jongmi Lee, MD, Tae Soo Lee, MD, PhD, Sehyun Baek,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9, 1024~102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cular injuries for the prevention and predictability of visual prognosis and the treatment of ocular injuries using the ocular trauma score. Methods: A retrospective survey was performed in 1341 eyes of 1257 patients, who visited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May 2009 to December 2009. The sex, age, causes, diagnosis, primary ocular surgery, injury site, initial and final visual acuities and complications were statistically reviewed. The ocular trauma score was calculated by assigning certain numerical raw points to the following six variables: initial visual acuity, globe rupture, endophthalmitis, perforating injury, retinal detachment, and a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The correlation of the ocular traumascore with the final visual acuity was investigated. Results: The incidence of ocular injuries was higher in males (79.0%) than in females and was more common in people in their 40s and 20s respectively. Among the patient the diagnoses, corneal erosion was most common in males, orbital wall fracture was most common in females, and corneal erosion, orbital wall fracture, orbital contusion, and hyphema were most common overall. An ocular trauma score was less than 44 in 6 eyes (0.7%), 9 eyes (1.0%) between a score of 45 and 65, 48 eyes (5.2%) between a score of 66 and 80, 122 eyes (13.2%) between a score of 81 and 90, and 737 eyes (79.9%) between a score of 91 and 100.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that the ocular trauma score showed a good visual predictive value and could be used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cular injuri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9):1024-1029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반복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재발한 당뇨황반부종에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 망막중심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라니비주맙 주입술의 단기 임상 효과
- 하사근기능항진으로 오인하여 하사근 절제술 후 발생한 이차 상사근기능항진
- 안와내벽골절 정복술 후 발생한 심한 일시적인 신경성 위눈꺼풀처짐 2예
- 망막중심정맥폐쇄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사 전 후에 망막전위도를 통한 망막기능의 평가
- 다이오드 레이저를 사용한 눈물소관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결과
- 증례보고 = 황반박리가 동반된 시신경유두소와에서 레이저 없이 시행한 유리체절제술 후 장기관찰 1예
-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안구건조증의 임상양상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한국인 시신경염 환자의 임상 양상 및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 효과
- 눈꺼풀처짐을 동반한 위눈꺼풀 결절 한선종 1예
- Sildenafil Citrate 복용 후 성관계 뒤 발생한 양안 급성폐쇄각녹내장 1예
- 기능적 눈물길 폐쇄에서 눈물길 신티그라피와 플루오레세인 염색소실검사의 유용성 비교
- 안외상의 통계적 고찰과 안외상 점수를 통한 평가
- 서로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점안 후 발생한 단순포진각막염 1예
- 동공 산동제와 축동제가 섬유주세포에 미치는 영향
- 만 16세 이후에 처음 진단된 간헐외사시
- 망막정맥폐쇄 환자에서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2년 임상 결과
- 결막 내 이식했던 양막을 이용한 난치성 각막 윤부결핍 질환 치료 1예
- 시신경 주변부의 장액성 망막박리를 동반한 Leber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 및 진행과 체중증가율과의 연관성에 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