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생아의 안과검사에서 발견된 안과적인 이상
이용수 3
- 영문명
- Incidental Abnormal Ocular Findings of Neonates in Ophthalmic Examination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자영 정문선 김소영,Ja Young Lee, MD, Moon Sun Jung, MD, So Young Kim,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2, 222~22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incidental abnormal ocular findings that may cause visual impairment in neonat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requested for screening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t our hospital’s pediatrics department between March 2005 and July 200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premature and mature neonates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under 37 weeks). Results: A total of 2,090 eyes from 1,045 patients were comprised of 1,514 eyes of 757 premature neonates and 576 eyes of 288 mature neonates. Among 154 eyes of 78 patients (10.17%) who were diagnosed with ROP, 34 eyes of 18 patients had laser treatment. Seven eyes of 5 patients in the premature neonate group (0.46%), and 38 eyes of 23 patients in the mature neonate group (6.57%) were found to have abnormal ocular findings, excluding incidental ROP. Twenty-six eyes of 16 patients were found to have a retinal hemorrhage, and the majority had a birth history of perinatal distress, including birth asphyxia, meconium aspiration, and 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Other findings included congenital cataracts, corneal opacity, macular coloboma, persistent hyperplastic primary vitreous, and abnormal fundus.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ocular abnormalities in neonates that cause visual impairment is low, but theses may threaten a child’s life. Early detection and prompt treatment of ocular disorders in children are important in order to avoid permanent, lifelong visual impairment. Therefore, ophthalmic examinations are essential, even in normal neonates, for early detection of ocular disorders.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2):222-226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정상안 및 백내장안에서의 스트레이라이트의 연구
- 배양된 사람 코점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마이토마이신 C와 5-플루오로우라실의 효과
- 레이저 굴절교정 수술을 위한 웨이브프론트 맵의 선택에서 구면수차의 고려
- 파스칼 레이저를 이용한 국소 및 격자 레이저 광응고술의 치료 효과
- 초음파와 두 가지 부분결합간섭계를 이용한 안구의 생체 계측 비교
- 성인 코눈물관협착 환자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장기적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원발성 군날개 수술 시 양막이식을 동반한 자가결막이식술 후 재발률
- 신생아의 안과검사에서 발견된 안과적인 이상
- 정상안압녹내장, 고안압녹내장 및 정상 대조군 사이의 식생활 습관 비교
- 심한 기계성 위눈꺼풀 처짐을 유발한 눈물샘 눈꺼풀엽의 거대 다형성 샘종 1예
- 연령대에 따른 망막신경섬유층결손의 양상 분석
- 안내후방콘택트렌즈 삽입술 후 장기적 위치 변화
- 급성골수구성백혈병에서 재발의 첫 임상증상으로 나타난 시신경유두 침범의 1예
- 눈꺼풀판 섬유종 1예
- 안구 길이와 전방 깊이에 따른 Haigis 공식의 정확성
- 현성굴절검사로 추적관찰한 조절내사시에서의 안경중단 예측인자
- 근시 성인에서 조절마비 전후와 조절마비제에 따른 굴절 변화 비교
- 자가귀연골이식을 이용한 아래눈꺼풀뒤당김 교정술
- 한국인의 특발성 망막앞막에서 투명각막절개 초음파유화술과 유리체절제술의 병합 및 연속수술
- 단순열공망막박리에서 눈속공기충전을 이용한 23게이지 경결막무봉합 일차유리체절제술의 임상결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