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상인에서 수면시간대 체위변동에 따른 안압 변화
이용수 53
- 영문명
- Change in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Sleeping Posture in Normal Peopl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응 권정도,Eung Lee, MD, Jeong Do Kwon,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11, 1318~132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intraocular pressure is affected by changes in sleeping posture (22-2400 hours) from the sitting position to the supine, prone, and lateral positions in normal subjects. Methods: Ophthalm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140 eyes of 70 healthy adult men, and changes in the intraocular pressure were measured according to posture during sleep. The subject was initially relaxed and the base intraocular pressure was measured in the sitting position.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intraocular pressure among the positions, namely, the supine, the prone, and the lateral recumbent positions, the subject was seated for ten minutes before assuming each position. Intraocular pressure was measured twice at 0 and 10 minutes in each position, and the mean of the two values was used for comparison. Results: Compared to the intraocular pressure in the sitting position, intraocular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upine, prone, and lateral positions (p < 0.05). Compared to the base intraocular pressure, the intraocular pressure measured in the prone position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increasing 6.34 mm Hg in the right eye and 6.43 mm Hg in the left eye. The intraocular pressure measured in the lateral position was 3.62 mm Hg higher in the right eye and 3.63 mm Hg higher in the left eye, and that in the supine position was 2.42 mm Hg and 2.28 mm Hg higher in the right and left eye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hange in posture during sleeping from the sitting position to the supine, prone, and lateral positions caused increases in intraocular pressure in normal subje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nge in sleeping posture induced by sleeping habits may raise intraocular pressure.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1):1318-1325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황반부 망막앞막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시력 호전에 관련된 예후인자
- 각막굴절교정학 콘택트렌즈가 근시 및 난시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에 사용한 도수에 따라 크기가 다른 인공수정체의 크기에 따른 임상결과
- 간헐외사시에서 외직근후전술 시 술 후 외편위로의 회귀: 동반된 수술 방법에 따른 비교
- 백내장이 동반된 녹내장 환자에서 수정체유화섬유주절제술과 섬유절제술의 치료효과 비교
- Drechslera 균종에 의한 진균각막염 1예
- 저농도에 따른 사이클로스포린의 인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시신경 유두부 주위에 국한된 양안 망막 포도송이 혈관종 1예
-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에 대한 지식 및 인지도조사: 서울시 당뇨병예방사업 설문 조사결과
- 소아에서 급성 눈물샘염으로 발현된 비특이성안와염 1예
- 트리플 카우-히치 방법을 이용한 인공수정체의 공막고정술
- 정상인에서 수면시간대 체위변동에 따른 안압 변화
- 아크로모박테르 자일로속시단스에 의한 각막궤양 1예
- 만성 부비동염으로 오인된 안와를 침범한 부비동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1예
- 레이저쇼 중 발생한 망막 손상 1예
- 결막 뮬러근 절제술의 임상 결과와 수술 성공에 미치는 요인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근시 정도에 따른 황반 구조의 정량적 분석
- 구면/비구면 레스토렌즈와 크리스타렌즈를 삽입한 후의 시력, 구면수차, 대비감도의 비교
- 마이토마이신씨에 의해 유도된 인간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자가포식현상
-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에 대한 10년간의 경과 관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