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Term Visual Outcome Following Cessation of Occlusion Therapy in Unilateral Ambly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준용 장혜란,Jun Yong Lee, MD, Hae Ran Chan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11, 1499~150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a long-term visual outcome following cessation of occlusion therapy in unilateral amblyopia. Methods: A total of 70 patients who successfully finished occlusion therapy (including maintenance therapy) for unilateral amblyopia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after cessation of occlus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Even after the success of occlusion therapy, maintenance therapy or regular examinations were performed until the visual development of the normal fellow eye (NE) was completed. The recurrence of amblyopia was defined as a 2 or more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levels of visual acuity (VA) reduction of the amblyopic eye (AE), as compared to the NE, at the last evaluation. Results: Amblyopia was associated with strabismus in 19 patients, anisometropia in 33 patients, and both in 39 patients. The mean age at the cessation of occlusion and at the last evaluation was 7.7 ± 1.9 years and 11.4 ± 2.9 years, respectively. The mean VA of the AE was 0.01 ± 0.03 and mean stereopsis was 101.7 ± 87.5 seconds of arc at the cessation of occlusion, and both improved at the last evaluation. However, the improvement of mean VA of the A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21). The mean duration of maintenance therapy was 25.6 ± 21.0 months, and was 3 times longer than the duration required to achieve success in the treatment of amblyopia. At the last evaluation, the recurrence of amblyopia was not found, while 3 patients (4.3%) lost 1 LogMAR level of VA in the AE, as compared to the NE. Conclusions: Visual outcome following successful cessation of occlusion therapy for unilateral amblyopia was favorable without recurrence of ambl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1):1499-1503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황반부종에서의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 주입술의 단기효과
- 프로프라놀롤 치료를 시행한 유아모세혈관종 1예
- 콘택트렌즈 착용 후 발생한 알칼리제네스 자일로속시던스에 의한 각막염 1예
- 급성망막괴사증후군 의심 환자에서 항바이러스제 정맥주사 후 발생한 급성신부전 1 예
- 삼출성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해부학적 비반응군 조사
- 한국인 녹내장 환자에서 중심각막두께와 공막두께의 상관성
- 백내장 수술 후 비구면 인공수정체 및 구면인공수정체 삽입안에서 광학적 기능의 비교
- 전방각이 얕은 환자에게 시행한 레이저홍채절개술 전후의 전방각 계측치의 변화
- 황반하출혈에서 유리체강내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체 및 SF6 가스충전술, 유리체절제술의 치료효과
- 양안에 발생한 나팔꽃증후군 1예
- 용량에 따른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과 베바시주맙 주입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 단안약시 환자에서 성공적인 가림치료 종료 후 장기적인 시기능
- 웨이브프론트 라식 수술의 결과 비교
-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아래 눈꺼풀 및 눈꺼풀 내 구조의 연령별 위치 변화에 대한 분석
- 제3형 머리얼굴틈새와 동반된 양안 선천눈꺼풀결손과 눈물소관결손의 수술적 복원 1예
- 매우 광범위한 허혈성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급속히 증식하는 망막전막의 미세구조
- 완전한 회복을 보인 전기경련치료 후의 일시적 시력저하 1예
- 미세각막절개도를 이용한 데스메막박리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의 국내 장기 임상 결과
- 편두통 소아에서 나타난 지속적 양안 하측 반맹
- 야간혈압하강이 녹내장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Sage Transmits His Mandate”: A Study on the Concept of “Mandate” in Wang Anshi's Yijing Thought
- An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College Students' “In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iddens' Modernity Theory
- Research on Digital Construction and Sharing Mechanism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sources under the Empowerment of Digital Intellig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