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숙아의 안압과 중심각막두께
이용수 7
- 영문명
- Intraocular Pressure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in Premature Infa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전강석 이가영,Gang Seok Jeon, MD, Kayoung Yi,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0,number8, 1237~124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of the range and relationship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IOP and CCT with gestational age and body weight, 58 premature infants 37 weeks-old or younger were examined. Under topical anesthesia, IOP was measured with Tono-PenⓇ XL (Medtronic Solan, Jacksonville, FL) and the CCT with pachymeter (SP-2000, TOMEYⓇ, Japan). The fundus was examined in infants with a risk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Results: Average gestational age of the subjects was 33 weeks and 6 days and body weight was 1506±520 grams (mean±standard deviation). Forty-five subjects had oxygen therapy, and 10 patients were found to have any one of the stages of ROP. Average IOP was 15.14±4.64 mmHg in the right eye and 15.29±3.70 mmHg in the left eye. CCT was 594.72±74.87 μm in the right eye and 599.78±74.17 μm in the left ey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OP or CCT and gestational age or body weight. Conclusions: Gestational age and body weight did not appear to affect IOP or CCT in the gestational age between 26 and 37 weeks. The maturing eye in the neonate is known for fast development in the first year after birth. There are, however, few reports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changes in dimensions of ocular structures in the premature neonate. These normative values may aid ophthalmologists in assessing IOP and CCT in premature infa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양안의 각막 결정 침착에 의해 진단된 다발성 골수종 1예
- 외상 열공망막박리의 임상적 특징
- 무바늘 분사식 주입기 오사용에 의한 양안 맥락망막 손상 1예
- 작은 피부절개창과 최소박리 수술방법에 의한 위눈꺼풀처짐의 교정
- 위눈꺼풀 피부늘어짐 환자에서 위눈꺼풀 성형술 후 눈썹의 위치 변화
- 당뇨황반부종의 치료에서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과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 비교
- 만성 중심성 장액맥락망막병증으로 오인되어 치료한 고령에서 발생한 베스트병 환자 1예
- 조절 인공수정체의 임상성적
- 미숙아의 안압과 중심각막두께
- 섬유주세포에서 덱사메타존이 산화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실험적 주사바늘 오염시 주사기내 용액의 오염 가능성
- 다공성 폴리에틸렌/티타늄 삽입물을 이용한 안와골절의 치료
- 황반부 질환에 대한 유리체절제술 전후 레이저 간섭계와 초음파로 측정된 안축장 변화의 비교
- 당뇨황반부종에서의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과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비교
-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 전 베바시주맙 유리체주입술의 유용성
- 혈액투석 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눈물막 및 안구표면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백색 가토 외안근후전술 후 Myosin Heavy Chain 아형들의 변화
- 황반부종에 대한 베바시주맙 유리체강내 주사의 효과
- 입원 치료를 시행한 감염각막염의 분석: 미생물학적 원인, 임상 양상 및 위험 인자
- 수정체이탈을 동반한 마르팡증후군에서 앞유리체경계면을 보존하며 실시한 공막봉합 인공수정체삽입술
- 불명열 환자에서 동반된 급성 일과성 근시성 굴절력 변화 1예
- 인체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헴산화효소-1의 발현에 대한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물질의 영향
- 범망막광응고술 전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황반부종 감소의 단기 효과
- 약물로 반응하지 않아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한 급성 폐쇄각녹내장 환자의 수술성공률 분석
- 전신홍반루프스 환자에서 발생한 망막병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