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term Outcome of Limbal Epithelial Cells Cultivated in Vivo on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천현철·신동민·이동준·박우찬,Hyun Chul Cheon, M.D., Dong Min Shin, M.D., Dong Joon Lee, M.D., Woo Chan Park,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9,number3, 415~4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long-term follow-up of limbal epithelial cells cultivated in vivo on amniotic membranes (LIVAM) in corneal limbal deficiency. Methods: Twenty-two eyes of twenty-two patients diagnosed with corneal limbal deficiency underwent transplantation of in vivo cultivated 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 on the amniotic membrane. Biops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E5, MUC5AC) of the amniotic membrane cultivated for one week were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cultivated epithelial cells on the amniotic membrane were corneal epithelial cells. Impression cytolog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lanted 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 at postoperative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Results: Successful epithelial growth was observed on the amniotic membrane at one week. The epithelial cells were confirmed to be corneal epithelial cells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ransplanted in vivo cultivated corneal epithelial cells were confirmed to have corneal specificity by impression cytolog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t postoperative 1 week,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Conclusions: In vivo cultured corneal epithelial cells showed morp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similar to those of normal corneal epithelial cells. Transplanted in vivo cultivated corneal epithelial cells were maintained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rneal epithelial cells. Transplantation of in vivo cultivated 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 can be performed to reconstruct the corneal limbus in treating corneal limbal deficiency. `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한 내인성 안내염에서 시행한 안구내용제거술
- 직난시를 보이는 환자에서 이측 투명각막절개창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 후 난시 변화
- 안내충전물로서 과불화탄소액을 이용한 거대 망막열공이 동반된 망막박리 환자 치료 증례 1예
- 뇌수막종 절제 후 발생한 찰스보넷증후군 1예
- 한국 정상인에서 명소 망막전위도의 ON 반응과 OFF 반응
- 수포각막병증에서 각막문신술과 양막이식술 동시 시행 7예
- 망막분지정맥폐쇄에서 시행한 조직플라스미노겐활성체 및 C3F8의 유리체강내주입술
- 무세포성 진피 동종 이식편을 이용한 무안구성 결막낭 수축의 치료
- 1단계 망막혈관종성증식의 치료
-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사후 발생한 무균성 안내염에 대한 고찰
- 다양한 안표면질환에 대한 0.05% 싸이클로스포린 점안제의 단기 효과
-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한 푸르처망막병증 1예
- 황반박리가 동반된 열공망막박리의 재유착 후 황반부의 다국소 망막전위도 소견
- 비강내 누낭비강문합술시 시행한 양막충전술의 단기 임상 결과
- 소아 백내장 수술 후 입체시에 영향을 주는 인자
- 망막중심정맥폐쇄에서 방사상시신경절개 후 망막맥락막 곁순환의 형성
-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의 장기관찰
- 라섹과 에피라식의 단기간 임상결과 분석
- 실리콘관을 사용한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후 발생한 눈물소관염
- 빈혈과 연관되어 발생한 하안검 피하지방괴사
- 심한 급성망막괴사에서 망막박리 예방을 위해 시행한 유리체절제술 및 실리콘기름 주입술의 효과
- 생체 내에서 배양한 각막윤부 상피세포 이식술의 장기 경과 관찰 결과
- Valganciclovir를 이용한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의 치료
- 급성림프구성백혈병환자에서 동종골수이식 후발생한 골수이식망막병증
- 정시안에서 연령에 따른 안수치들의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