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콘카나발린을 이용한 단기간 건성안 동물 모델 유용성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The Feasibility of Short-term Dry Eye Animal Model Using Concanavalin 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신기철 김형찬 고정화 위원량 이진학 김미금 ,Ki Cheul Shin, M.D., Hyung Chan Kim, M.D., Jung-Hwa Ko, M.D., Won Ryang Wee, M.D.,, Jin Hak Lee, M.D.,, Mee Kum Kim,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5, 699~70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hort-term dry eye model in rabbits by injection of concanavalin A (conA) to the lacrimal and haderian gland of rabbits. Methods: We injected conA (10 mg/ml, 0.05 ml) to the lacrimal and haderian gland of rabbits twice to induce inflammation of lacrimal gland and compared with saline-injected control by lacrimal gland biopsy with H&E staining for identification of inflammation. The ratio of lacrimal secretion was evaluated by Schirmer test (preinjection vs. postinjection of conA) for 10 days and the number of goblet cells was counted in 10 consecutive high power field using impression cytology with PAS staining. The corneal & conjunctival apoptotic cell deaths were investigated with TUNEL staining 10 days after injection. Results: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destructed normal architecture of lacrimal gland was found only in conA injected group till 10 days. The Schirmer test showed marked reduction (0.56±0.26) by 5days after inje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07±0.35) (p=0.02) and i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intained till 10days. The number of goblet cell was 9.70±5.03/×200HPF,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47.50±17.13/×200HPF) at 10 days (p=0.00). Apoptotic cells were increased in injected eye (26.20±4.27)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16.60±2.70). Conclusions: Injection of conA to lacrimal glands in rabbit shows decrease of lacrimal secretion and similar cytological changes of the cornea and conjunctiva in human dry eye patients. It suggests its possible feasibility of short-term dry eye animal model for the 10 day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황반부종의 종류에 따른 유리체강내 스테로이드주입술과 국소레이저 치료의 효과 비교
- 실험적으로 유도된 당뇨유발 쥐 망막에서 리포산에 의한 혈관내피성장인자와 STAT3 억제효과
- 정상, 고안압증, 녹내장 의증, 녹내장안에서 매트릭스 시야계와 험프리 표준 자동 시야계간의 결과 비교
- -5.0~-8.5디옵터의 근시안에서 라섹(LASEK) 수술시 사용한 저농도 마이토마이신의 각막혼탁억제 효과
- 무안구성 얕은 아래결막구석 환자에서 아래속눈썹밑 피부절개를 통한 결막구석재건술
- 유두주위 망막하 출혈과 동반된 유두내 출혈 2예
- 콘카나발린을 이용한 단기간 건성안 동물 모델 유용성 연구
- 유리체강내 특정 트리암시놀론주입 후 발생한 투명기름방울모양 잔존물
- 갑상샘눈병증과 동반되어 발생한 망막중심정맥폐쇄 1예
- 심한 안검하수 및 안구돌출을 동반한 얼기형 신경섬유종 1예
- 건성안이 동반된 갑상샘안병증 환자에서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 사용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변화
- 섬유주 각막 이행부위의 형태학적 특성: 편평조직표본 및 미세구조
- 두 가지 각막지형도 검사에서의 각막 측정값 비교
- 당뇨 유발 쥐의 망막에서 효소조직화학염색에 의한 뮐러세포의 형태학적 연구
- 웨이브프런트 에피라식의 6개월 임상성적
- 소아백내장을 동반한 후원추수정체에서 수술치료의 결과
- 포도막염에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안압 변화
- 비일치성 사시에서 후봉합술의 수술적 효과
- 변형된 단순절제를 이용한 눈구석주름의 치료
- 안검의 발적성 부종을 주소로 발견된 안와에 발생한 고립성 골형질세포종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