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낙엽성 천포창 환자에서 발생한 양안 헤르페스 각막염 1예
이용수 2
- 영문명
- Bilateral Herpetic Keratitis in a Patient with Pemphigus Foliaceu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양희경 한영근 위원량 이진학 권지원,Hee Kyung Yang, M.D., Young Keun Han, M.D., Won Ryang Wee, M.D. Jin Hak Lee, M.D., Ji Won Kwon,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7,number8, 1364~1368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ilateral herpetic keratitis in a patient during glucocorticoid treatment of pemphigus foliaceus. Methods: A 71-year-old man presented with pain and epiphora in both eyes for a week. He had a history of pemphigus foliaceus for a 6-month period and was on glucocorticoid treatment. Anterior segment examination showed conjunctival injection and corneal geographic epithelial defects in both eyes. He was diagnosed with herpetic keratitis and was given a topical antiviral ointment. Results: One week after the initial antiviral treatment, the corneal epithelial defect of the right eye had fully improved, whereas the left eye showed increased stromal edema with enlarged epithelial defects. Oral antiviral agents were given with topical broad spectrum antibiotics, and artificial tears added for the left eye. A week later, the stromal edema of the left eye had decreased but the epithelial defect was stationary.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on the left eye. The corneal epithelial defects of the left eye healed remarkably. Conclusions: Herpetic keratitis is, in general, a unilateral disease. Bilateral herpetic keratitis is much rarer, and has been described mostly in patients with an altered immune system. The disease progress is known to be similar in both eyes in most cases of bilateral herpetic keratitis, whereas in this case, the fellow eye showed delayed healing.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seems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on persistent epithelial defect due to herpetic keratiti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상외사시를 보이는 영아외사시의 임상양상
- 뒤쪽까지 연장된 거대 안와하벽골절에서 다공성 폴리에틸렌 통로 삽입물을 이용한 안와골절 정복술
-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사시의 자연 퇴행
- 안구건조증 환자에서 국소 테스토스테론 젤의 치료효과
-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보툴리눔독소를 이용한 위눈꺼풀뒤당김 치료의 결과
- 알콜과 각막상피절삭기를 이용한 각막 상피층 분리 및 창상치유 정도 비교
- 건성안에서 눈물점마개의 치료와 탈락률에 대한 임상 고찰
-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측방 주시 사시량에 따른 수술 성공률
- 실험적으로 유발된 안검유착가토에서 안검의 조직유착 해리시 양막 이식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심한 갑상샘연관안와병증과 연관된 위험인자
- Advanced Surface Ablation-Photorefractive Keratectomy (ASA-PRK): 각막두께가 얇은 경중등도 근시안에서의 수술 효과 및 안전성
- 갑상샘기능에 따른 갑상샘연관안와병증의 임상양상
- 낙엽성 천포창 환자에서 발생한 양안 헤르페스 각막염 1예
- 방사상각막절개술을 받은 고도근시안의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 유리체절제술 및 실리콘기름 충전눈에서 트리암시놀론의 유리체강내 주사
- 덧눈꺼풀 교정수술의 새로운 피부 절개선
- 원인균이 동정된 세균성 안내염의 시력 예후
- 비강내 이상의 유무가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역기하렌즈 착용 후 시력, 굴절이상 그리고 각막 난시의 상관성 분석
- 망막모세포종 소아 환자에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안와삽입물 삽입술의 임상결과
-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과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에서 신경성장인자의 농도와 의미
- 초음파, 샤임플러그 전안부 사진기, 각막형태 검사기를 이용한 전방깊이의 측정 및 비교
- 항알러지 점안약이 배양된 가토의 결막세포에 미치는 영향
- 안쪽눈구석부위에 발생한 바닥세포암에 이소엽의 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2예
- 백내장 수술 후 각막 지각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