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툴리눔 A 독소 테논낭하 주사가 가토 외안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Morphological Changes in Extraocular Muscle of Rabbit Eye Produced by Subtenon`s Botulinum A Toxin Chemodenerv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하병진 김용민 권현석 장윤희 한승한 주영광 박종운 임찬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7,number2, 305~31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Currently, when injecting botulinum a toxin into the extraocular muscle, EMG (Electromyography) is used for accurate loc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ubtenon botulinum toxin injection without EMG guidance by quantify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extraocular muscle fibers in rabbits. Methods: Using 10 New Zealand white rabbits, 10 units of botulinum a toxin in 0.1 ml of norm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subtenon space of the superior rectus muscles, 5 mm from the muscle insertion in right eyes. As a control, 0.1 ml of norm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subtenon space of the superior rectus muscles in left eyes. At 3 weeks after injections, the bilateral superior rectus muscles of each rabbit were carefully dissected from the globe. Cross-sections of 5 ?m thickness were obtained at the site, 5 mm from the insertion of each superior rectus muscle. Sections were stained with Masson`s trichrome and observed by light microscopy. Using Image-Pro Plus software, the diameter of the orbital layer myofibers was measur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orbital layer fiber cells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was 11.5±2.26 ?m at 3 weeks, whereas that of the control was 14.4±3.77 ?m.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Conclusions: The diameter of myofibers in the orbital layer was reduced after subtenon botulinum a toxin injection. Further studies on the duration of botulium toxin in subtenon space and the change in the size of myofibers depending on the dosage of botulinum toxin will be necessa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익상편에서 파이브린 글루를 이용한 자가결막이식술
- 허혈성 인자가 군날개 발병에 미치는 영향
-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전포도막염 1예
-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시 코점막 절개창 크기에 따른 수술 결과
- 코눈물관 부분폐쇄 치료시 마이토마이신 관류 여부에 따른 실리콘관 삽입술의 효과
- 유리체강내 가스주입술로 치유된 모양체해리를 동반한 저안압 망막병증
- 수정체낭 크기 측정을 위한 수정체낭확장고리의 개발 및 술 전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한국인에서 각막보정주사레이저편광측정계의 진단적 유용성
- 건성안에서 인공누액 점안 후의 안구 수차의 변화 양상
- 재발성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에 대한 임상 분석
- 가토에서 트리암시놀론이 증식유리체망막병증과 간세포 성장인자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광학부크기 6 mm 홍채고정 안내렌즈의 임상결과
- 눈물샘에 발생한 일차성 피지샘암 1예
- 외상 후 안압변화와 동반된 급격한 굴절력 변화 1예
-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 외사시각의 변화
- 특발성 비후성 두개 경막염과 동반된 우안 상사근 마비
- 학동기 근시 환아 굴절검사시 근시 과교정 방지를 위한 두가지색 굴절검사의 유용성
- 2004년 한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회원 설문조사 한국에서의 백내장 수술의 최근 경향
- 광간섭단층촬영에 내장된 시신경섬유층두께 지표와 새로 계산된 지표의 녹내장 진단 정확도 비교
- 신체장해평가 환자에서 시유발전위 검사의 유용성
- 뇌하수체선종과 연관된 만성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큰 망막색소상피박리를 동반한 혈관신생 : 안저혈관조영 소견에 따른 분류
- 보툴리눔 A 독소 테논낭하 주사가 가토 외안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하안검의 현미경적 해부구조
- 미세각막절개도 헤드의 선택을 통한 맞춤식각막절개방식의 라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