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차섬유주절제술 후 처치에 따른 안압하강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Management on High Intraocular Pressure after Trabeculectom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은경 형성민,Eun-Kyung Kim, M.D., Sung-Min Hyung,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6,number9, 1526~153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pwise procedures on high intraocular pressure (IOP) after trabeculectomy.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ducted on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trabeculectomy between January 1997 and December 2002. at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alysis included 136 eyes from 118 patients who received at least 6 months of follow-up care (mean 22.4±18.1 months). High IOP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was identified in 104 of the 136 eyes, and these were treated by the following methods in a stepwise manner: ① cotton-tip application (a slow, steady eyeball pressure with a sterile cotton tip was favored), ② scleral flap suture cutting (26-gauge needle), ③ needling of the bleb (without antimetabolites), ④ additional antiglaucoma medication. If none of the above management techniques was successful, the surgery was repeated. After cotton tip application or scleral flap suture cutting,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recovery group (IOP was reduced) and the non-recovery group. Results: Success rates were 11.8% for cotton-tip application, 15.4% for scleral flap suture cutting, 0.7% for needling without antimetabolites, and 28.7% for additional antiglaucoma medication.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80.1%. Pre-interven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on-recovery group were higher preoperative IOP (p=0.003) and diabetes (p=0.017). Conclusions: Four procedures were used, in a stepwise manner, to reduce IOP following trabeculectomy. IOP was found to decrease to desirable levels without the use of antiglaucoma medication in 27.9% of all subjec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압과 심혈관계지수와의 상관관계
- 덧눈꺼풀교정술 또는 눈꺼풀처짐교정술 후 난시의 변화
- 신생혈관녹내장에서 광역학치료를 이용한 치험 1예
- 가변각막보정 주사레이져편광측정기를 이용한 국소 시야 결손을 가지는 녹내장 환자의 진단
- 광변색성 안경렌즈의 임상적 유용성 및 효과 평가
- 세침 흡인 생검을 이용한 안와 후반부 종양의 진단
- 소아의 위 덧눈꺼풀과 동반된 안쪽눈구석주름의 수술적 교정
- 섬모체 신경조직과 동시 배양된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축삭이동
- 적은 원시에서 발생한 굴절조절내사시
-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의 유리체강내 주사 농도에 따른 유리체강내의 잔류 기간 및 제거율 변화
- 외상 후 발생한 바실루스 세레우스 안내염 2예
-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시야검사의 상관관계
- 결핵성 신경망막염 1예
- 아메드 방수유출장치 삽입수술의 성공과 관련된 요인
-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시 발생한 전방 내 트리암시놀론의 역류
- 일차섬유주절제술 후 처치에 따른 안압하강 효과
-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각막상피재생과 관련된 인자
-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에서 파면고위수차의 분석
- 선천주기교대눈떨림의 임상적 양상
- 후유리체막 및 망막내경계막 제거술을 시행한 황반원공 망막박리의 수술결과
- 각막의 화학손상에 대한 임상적 고찰
- 후천성 3, 4, 6번 뇌신경마비의 임상 양상과 자연 경과
- 중등도 이하 근시 환자에서 역기하렌즈 착용중지 후 각막 변화 관찰
- 익상편수술시 결막소판술과 자가결막이식술의 재발률 비교
- 심부표층각막이식의 임상성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