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두상 갑상선암종 환자의 수술요법 후 혈청 타이로글로불린
이용수 8
- 영문명
- Postoperative Serum Thyroglobulin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발행기관
- 대한내분비외과학회
- 저자명
- 최인석 예병국 한군택 심문섭 In Seok Choi M.D. Byung Kook Yea M.D. Koon Taek Han M.D. and Mun Sup Sim M.D.
- 간행물 정보
-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1권2호, 255~258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Postoperative serial serum thyroglobulin (Tg) measurements on levothyroxine (L-T4) therap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DTC) is known to be useful in monitoring tumor progression or regres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serum Tg levels on L-T4 therapy after surgery. Methods: To determine the basal serum Tg levels on L-T4 therapy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DTC, Tg levels during the initial 2 year-period after surger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 37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total thyroidectomy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Group 2) or without (Group 1) palpable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The Tg levels had been measured 1 to 4 times for each patient with total of 53 and 35 times in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Results: The basal Tg levels in Group 1 were all less than 4 ng/mL with 79.3% less than 2 ng/mL, and those in Group 2 were all less than 9 ng/mL with 71.4% less than 2 ng/mL. Conclusion: The data suggests that the postoperative serum Tg level of 10 ng/mL can be a useful reference value in long-term follow-up after total thyroidectomy for patients with DTC. (Korean J Endocrine Surg 2001;1:255-258)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CTH 비의존성 양측성 거대결절성 부신피질 증식증에 의한 쿠싱증후군 1예
- 갑상선 수술시 피대근 절개가 음성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 요오드의 국소주입에 의한 양성 갑상선 결절의 치료
- 세침흡입검사에서 Suspicious로 판독된 갑상선 결절의 치료적 접근
- 유두상 갑상선암 발생에 대한 내인성 스테로이드의 영향
- 갑상선 수술시 상후두신경의 외지(EBSLN)의 확인 및 보존 방법
- 복강경 부신절제술 초기 20예의 임상적 고찰
- 미분화 갑상선 암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유두상 갑상선암종 환자의 수술요법 후 혈청 타이로글로불린
- 갑상선 수술 중 반회후두신경 보존법
- 갑상선절제술시 부갑상선 보존법
- 갑상선 수술 중 반회후두신경 보존법
- 갑상선 수술시 상후두신경의 보존법
- 기관절제술을 이용한 국소진행성 갑상선암의 완전절제
- 갑상선 수술 중 부갑상선 보존법
- 갑상선수질암의 치료에 관한 최신지견, Sodium Iodide Symporter의 Cancer Therapy에 대한 역할 (Clinical Review), 세침흡인검사로 진단이 어려운 갑상선 병변에서 Met/HGF 면역조직화학 염색의 유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Characteristics of imported and domestic malaria cases in Gyeonggi Province, Korea
- Levels of exposure markers among residents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areas in Korea,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and Asians in the United States
- Risk of non-cancer respiratory diseases attributed to humidifier disinfectant exposure in Koreans: age-period-cohort and differences-in-difference analy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