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럽 제국주의 국가의 대중동 언어 정책과 그 영향
이용수 153
- 영문명
- European Imperial Nations’ Language Policy and Its Impact in the Middle East Countries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저자명
- 윤용수
- 간행물 정보
- 『중동문제연구』중동문제연구 제14권1호, 171~2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ordan is an orthodox Islamic country, and most of the Jordanians are
proud that they are the direct descendants of Muhammad, the founder of
Islam. Therefore Jordan did her best to retain her Islamic identity after
independence from the United Kingdom. This endeavor was carried out
under the title of Arabization, which aimed at the renewal of Arabic
language. Language is a means of showing identity and solidarity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in a society. The Arab Muslim people, including
Jordanians, are strongly proud of their language, modern Standard Arabic.
Therefore Jordan have actively carried forward this policy (Arabization)
to regain their proud and identity,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the
language situation of Jordan and its character through the process of
Arabization in Jordan. In this paper, I conducted research on the United
Kingdom’s colonial policy that influenced the Jordan's linguistic situation
and the process of Arabization after independence from the United
Kingdom. I also investigated the language-user attitudes toward
Arabization in the context of language policy in Jordan, as well as the
influence of English in Jordan that has significantly grown and will be stronger in the future.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modern standard
Arabic and English, and Jordanian attitudes toward the two languages.
Eventual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inguistic situation of modern
standard Arabic and English, and the hybridity of language caused by
contact, and the pattern of the hybridit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영국의 식민지 정책과 요르단
Ⅳ. 요르단의 아랍어화와 언어 변종에 대한 인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카타르의 국가정체성의 형성과 소프트 파워 전략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시리아 국가건설을 위한 평화구축 과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