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이은령 이상현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26집, 151~18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e présent travail a pour objectif de distinguer et d’analyser la
traduction des termes coréens qui correspondent aux concepts
religieux représentés par ‘Kyo(敎)’ dans le Dictionnaire Coréen-
Francais(1880). Etant donné que le terme ‘宗敎’(religion) n’a pas été
utilisé avant le 20 e
siècle, le ‘Kyo (敎)’ était connu pour être le terme
traduit de ‘religion’. Cependant il y a un écart linguistico-culturel non
négligéable entre le concept traditionnel coréen ‘Kyo’et le concept
moderne de l’Occident de la religion dans son acceptation générale.
Le fait que dans le Dictionnaire, ‘Kyo’ est également utilisé comme
un terme équivalent pour la doctrine, l’enseignement ainsi que le
secte montre la différence sémantique entre les deux concepts. En
outre, le mot français ‘religion’ a été principalement traduit en ‘Kyo’
aussi bien qu’en sino-coréens [聖,, 道, 修, 学, 诫]. Parmi ces termes, [敎, 聖,, 道], les termes équivalents fréquemment utilisés pour la
religion n'étaient pas de simples termes correspondants, mais ils ont
été en train d’acquérir lentement le sens du néologisme inventé par la
traduction et donc en voie d’expansion sémantique. En particulier
‘kyo’ est le plus souvent servi à interpréter et décrire le concept de la
Religion en général. Et le ‘seong’(聖) est également intégré au
domaine des lexiques du Christianisme alors que le ‘To’(道) reste
dans le domaine sémantique de la religion traditionnelle.
목차
1. 머리말
2. 한불자전 에서 한국어 어휘 의미
의 번역 양상
2.1 선행연구
2.2 한불자전 표제어의 의미정보
구성과 연구방법
2.3 종교 관련 어휘 분류의 문제점
3. 敎’와 ‘religion’의 상응
3.1 교리 doctrine
3.2 가르침 enseignement
3.3 종파 secte
3.4 종교 religion
4. 번역된 [敎, 聖, 道]의 의미
4.1 번역으로 본 ‘敎’의 의미
4.2 번역으로 본 ‘聖’의 의미
4.3 번역으로 본 ‘道’의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적 공손성 이론에 대한 소고
- Estournelles de Constant의 견해
- Bourdieu의 재생산 이론에 근거한 문화적 불평등에 대한 연구
- 근대도시 르아브르와 인천의 문화브랜딩 전략 연구
- 한불자전 에서 종교 관련 번역어휘의 해석과 의미
- 현행 프랑스어I 교과서 분석
- 베르베르어의 기원과 ‘네오-티피나그(Néo-Tifinagh)’ 문자에 나타난 몇 가지 특성 연구
- 프랑스어 철자부호의 역사적 고찰
- 프랑스의 지역발전 추진체제
- 초기 아방가르드 영화의 예술적 정체성
- 에밀 졸라의 작품 『부인들의 행복백화점』에 나타난 인적자원 관리
- 부르고뉴 와인의 특성과 지역에 따른 위계
- 미셀 뷔토르 소설의 형식과 기법
- 청소년기의 이민 정체성에 관한 고찰
- 들뢰즈의 미학이 현대건축에서 다중성의 개념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몽골학 제82호 목차
- 한ㆍ몽 언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 복합 과거시제의 한국어 대응표현 연구 - ‘과거 기준시의 과거(과거의 과거)’를 중심으로
- 몽골 현행 몽골어능력시험 2종(ToPMON, TOMFL)의 개발 배경 및 운영 현황과 발전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