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강수 추세 및 가뭄년도의 특성
이용수 7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장기호 정진임 차영민 양하영 최영진 권원태 Jang, Gi-Ho Jeong, Jin-Im Cha, Yeong-Min Yang, Ha-Yeong Choe, Yeong-Jin Gwon, Won-Tae
- 간행물 정보
- 『1. 한국방재학회지』11권1호, 54~6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기상관측소 325개소(기상관서:61개소, 자동기상시스템(AWS):264개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최근 10년간의 강수 현황, 평년대비 변화 추세, 그리고 전국적 가뭄년도의 강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근 10년간의 연강수량은 평년 대비 7.3% 증가하는 추세로서 7월의 경우 평년 대비 25% 증가하나 11월의 경우 34% 감소하여 가뭄과 홍수의 자연재해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10년간의 언론보도 조사결과, 가뭄이 발생하지 않은 2003년을 제외하고 매년 지역적 강수부족으로 제한급수가 실시되어져 지역적 강수부족은 매년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뭄년도와 비가뭄년도의 월별 강수 변화 분석결과, 최근 20년 전국적 가뭄이 발생한 연도에는 2-5월사이 10년 평균강수량에 못미치는 강수가 발생하고 있음이 나타났고 이 특성을 이용한 누적강수량의 지속적 감시는 가뭄 조기경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관하여 최근 90일 누적 강수량과 댐 수위 상황도를 산출하고 이를 사례분석하여 보았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 현재(2011년 3월말) 강수부족이 지속된다면 낙동강 중 상류지역에 물부족이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뭄전망과 실시간물관리를 위한 APCC 계절예측정보의 활용
-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대지진의 교훈
- 최근 강수 추세 및 가뭄년도의 특성
- 광섬유 센서 기술을 이용한 교통 재해 감시 기술 개발
- 가뭄관리를 위한 나이테 자료의 활용 방안
- 충북지방 기후변화 특징
- 기후변화와 천년의 가뭄
- 한반도 활성단층과 연구현황
- 가뭄모니터링 및 가뭄전망을 위한 가뭄정보 시스템의 구축
- 2010년 북한 기상 특징
- 추계학적 토양수분수지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발생의 영향
- 전라남도 지방하천의 하천기본계획 수립현황
- 백두화산과 다음 대 가뭄
- 항공기 조류충돌 준사고에 재한 고찰
- 용수공급능력을 고려한 가뭄 지수 개발
- 안전진단 수행과정에서 문제점
- 철도교량의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권두언] 강의혁신은 교육혁신의 출발점
- [함께하는 공학교육] 우수 융합인재의 산실, 성균관대 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랙션 빅데이터 BK21 교육연구단
- [공학교육현장] 지능형로봇 사업단의 지역사회 기여 및 연계프로그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