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Curcumin on the Microglial Activation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정기경(Ki Kyung Jung) 이상진(Sang Jin Lee) 이선우(Sun Woo Yi) 강석연(Seog Young Kang) 김태균(Tae Gyun Kim) 강주혜(Ju Hye Kang) 홍성렬(Sung Youl Hong) 주일로(Ilo Jou) 김승희(Seung Hee Kim) 한형미(Hyung Mee Han)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44권 제5호 (2000년), 448~45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icroglia, brain resident macrophages, play a central role in the inflammatory responses of the brain and are activated in brain injuries and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thereby aggravating the course of these diseas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lant-derived compounds such as curcumin or gingerol on the microglial activation were examined. Microglial cultures were prepared from 2-3 week mixed primary glial cultures obtained from the cerebral cortex of 1-2 day old rats and identified by immunocytochemistry using microglial-specific antibody OX-42. Microglia were activ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and interferon-gamma (IFN-gamma) and the effect of curcumin or 6-gingerol on the microglial activation was examined. Specific parameters measured to monitor microglial activation were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release. Curcumin (1-10mcM) inhibited NO release induced by LPS and IFN-gamma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6-gingerol (2-20mcM) did not have any effect on LPS/IFN-gamma-induced NO release. The levels of PGE2 and TNF-alpha induced by LPS and IFN-gamma were also inhibited by 1-10pM curcumi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howed that curcumin could modulate microglial activ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까시나무 뿌리껍질의 성분 (I)
- 영묘향함유 우황첨심원액과 사향함유 우황청심원액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약리효과 비교시험
- 음양곽 물추출물이 B16 Mouse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 펠로디핀이 함유된 미립구의 생체이용률
- Streptomyces sp.409에서 분리한 항암활성 물질의 특성
- 어성초의 카드뮴에 대한 독성억제효과(II)
- 시험관내 용출 및 장관막 투과도와 생체이용률과의 상관성
- DHEA의 항비만 효능 및 ob 유전자 (lept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긴꼬리말불버섯(Lycoperdon pedicellatum)의 항암 면역활성
- PVC 액체막 전극을 이용한 Norfloxacin의 정량
- Curcumin이 microglia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E-SCREEN Assay를 이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정량적 평가
- Gas-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를 사용하여 쥐의 뇨시료 중 benzidine 대사체의 확인 및 in vitro 독성
- Polychlorinated biphenyl 전처리한 흰쥐 간장의 S-9 분획에서 Stanozolol의 Hydroxylation 대사체의 생성
- 1,2-비스(디페닐포스티노)에탄을 배위자로 한 항암성백금(II) 착체의 위암세포와 정상신장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독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A human-written versus an artificial intelligence-generated farewell
- Pattern of change in force and moment according to amounts of labial tipping and material types of clear aligner: In vitro experiment with a six-axis mechanical sensor apparatus
- Fractal analysis of mandibular bone structure in individuals with unilateral crossbit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