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죽염의 제조과정에 따른 성분함량의 변화 및 타 염류와의 비교
이용수 107
- 영문명
- Elements in a Bamboo Salt and Comparision of Its Elemental Contents with Those in Other Salt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김영희(Young Hee Kim) 류효익(Hyo Ik Ryu)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47권 제3호 (2003년), 135~14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jority of table salts are bay salts and chemical salts. However, chemical salts are known to have a different composition in biological electrolytes and quality of bay salts are getting worse due to the increasing seawater contamination. These facts may have led to the increasing usage of various health-promoting salts. Bamboo salt was introduced in 1986 as a solution to replace table salts to eliminate those detrimental effects, to promote general health and to treat diseases. Although all bamboo salt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have been used for the same health and medical purposes, each manufacturer utilities different manufActuring precess. The ICP analysis was used to study the changes of elemental contents in a bamboo salt during the manufacturing steps as well as these contents in various bamboo salts and other salts. After the first step, contents of Li and Sr in the bamboo salt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raw material, bay salt. As the next steps continued, contents of K, Ca and Ba were continuously increased. At the completion of the final step, contents of Mg and P were decreased and those of Cu, Mn and Mo were gradually increased. Bamboo salts contained lower contents of Mg, Al, B, and P, but higher contents of K, Ca, Fe, Cu, Mn, Zn, Li, Ba, Sr and Mo than bay sal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린코마이신 크림의 피부투과를 위한 처방설계
- 박테리오파아지 표면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Maackia amurensis Hemagglutinin (MAH)의 기능적 발현
- 1,5-Diphenylhydantoins의 가수분해에 의한 N-Aryl Phenylglycine O-Alkyl Esters의 합성
- 세균의 Peptide Deformylase(PDF)를 억제하는 새로운 항균물질의 스크리닝
- IL-1/Toll-like Receptor Superfamily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TRAF6 결합 Motif의 규명
- 캔디다질염에 효과가 있는 단항체에 대한 호중구의 역할
- 죽염의 제조과정에 따른 성분함량의 변화 및 타 염류와의 비교
- 오가피 조다당의 단백질 항원 (BSA and OVA)에 대한 면역증강효과
- 가스크로마토그래피 -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모발에서 암페타민형 각성제 약물의 동시 분석
- 오가피로부터 분리된 조다당 분획물의 면역자극활성 및 Cisplatin과의 병용에 의한 항암 상승작용의 유도
- 2 위치가 치환된 5-니트로 Benzimidazole 유도체들의 Topoisomerase I 억제 활성
- 1100~2200 nm파장 영역의 휴대용 근적외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한 사람피부의 수분측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