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between General Classroom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성용(Yi Seong yong)
- 간행물 정보
- 『특수·영재교육저널』제1권 제2호, 43~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부분의 장애학생들은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통합교육을 받고 있다. 그리고 통합교육에서는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을 조사하여 통합교육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J군의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24명(비교: 일반학급 22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조사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는 직무 만족도가 높았고, 심리적 소진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는 직무 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확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Most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re in a general education school to receive inclusive education.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re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inclusive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et up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enty-fou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 and the burnout level was low.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between general classroom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