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ross-cultural awareness in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reference to Prime love
- 발행기관
- 영상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옥종석(Ok Jong seok)
- 간행물 정보
- 『STEM Journal』15권 1호, 129~154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a foreign language, the learner should be well aware of what to say and how to behave in a given situation. Such competence arises from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 target cultur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how much awareness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about the cultures of English-speaking countries. Ninety five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15 questions by focusing on American cultures. The questions were selectively prepared based on the story of Prime Love. The result shows that the subjects' awareness is below 40% for those cultural aspects, which include national image of the USA, age, counseling, homosexuality, dating, and more particularly non-verbal communication including gestures. However, the subjects appear to be relatively well informed about those areas such as weekend activities, pastime, invitation, and giving gifts. In class, students may be encouraged to spend some time practicing linguistic expressions together with appropriate behavioral activities using role plays and miniplays. It is also suggested that one seemingly important culture is shown from different movies and then students are encouraged to find out som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for themselv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관련연구
Ⅲ. 연구방법
Ⅳ. 발견 및 토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를 활용한 듣기활동과 그룹토론활동의 통합수업
- Features and Strategies of Korean EFL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mail Discourse
- 루틴의 인식 재고에 관한 연구
- Using TED in the Undergraduate Interpreting Classroom to Enhance Listening Competence
- 영화 속 스피치를 활용한 영어 교수
- 읽기 수업에서의 미디어 자료 활용
- 과거와 현재의 마녀사냥
- 말하기, 쓰기 선출력(output-first) 활동의 영어교육현장 실효성 연구
- 미드를 통해 본 어휘접근법의 허와 실
-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차문화 자각능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AI 기반 언어 학습에서 개인차가 긍정적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동기적 자아 체계, 그릿, 즐거움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어 콘텐츠 개발 아이디어톤 설계 및 실행연구: 퀘스트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 Language Style Awareness Through Film Dialogu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