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陸用鼎의 記夢 연작 연구
이용수 401
- 영문명
- A study on the Gi-mong serial works written by Yuk Young-jeong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하지영(Ha, Ji-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2권, 391~424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세기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보여주는 육용정(陸用鼎 : 1843-1917)의 기몽 연작을 검토한 것이다. 총 9작품으로 구성된 기몽 연작은 전통적인 한문산문 양식을 차용하면서도 그 안에 다양하게 일탈과 변주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글과 글을 유기적으로 조직하는 연작 구도, 그리고 하나의 사건을 다양한 양식으로재편성하는 방식은 기존의 한문 산문에서는 보기 드문 것이다.
기몽연작에서의 꿈은 <설몽>에서의 논해지고 있는 꿈과, 환진ㆍ곡흠으로 허구화된 꿈으로 두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될 수 있다. 전자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미지가 강조되어 나타나 극변하는 당시 시대상에 대한 메타포로 이해할 수있다. 또 후자는 기존의 억압기제를 해제하고 본연의 자아를 발견하고자 하는 작자의 욕구로 독해된다. 이전 시대 한문학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자기 내면에 대한깊은 탐구가 이 시기에 나오는 것은 흥미롭다.
이러한 기몽 연작은 이전 18세기부터 시도된 문예의 변화, 그 연장선에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회 및 문단의 판도가 달라지는 19세기 말 시대적 상황이 그 일탈을 자극했으리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pproaches the Gi-mong serial works written by Yuk Young-jeong which shows new written style in 19 century. This serial works are composed of nine short compositions. While borrowing from traditional Chinese writing, these experiment with deviations and variations in various ways. These are rare works in Chinese classical prose, because all of work has one theme and is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one episode is reconstructed of a variety of styles.
In Gi-mong serial works, the dream should be discussed in two ways. In constant changing image of dream in strongly emphasize,that can be understood as a metaphor for those fast-paced times. In others, by building fictional character-'Whan-jin' and 'Goek-Hum'-that can be understood as deep desire of the writter for discovering self and deconstructing suppression mechanism. It is interesting the exploration of the deepest reaches of the human mind appeared in those times.
Gi-mong serial works can be discussed in an extension of changing in literature from 18 century. Also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Late 19th-Century stimulates the desire for deviatio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육용정의 생애와 자의식
3. 기몽 연작의 구조 및 특징
4. 기몽 연작에 나타난 꿈과 그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俛宇 郭鍾錫의 당대 대응과 인식론적 基底
- 고전소설의 현재적 가치 모색과 교양교육
- 세조 어제시 연구
-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1)
-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현황과 교양 과목으로서의 구비문학
- 陸用鼎의 記夢 연작 연구
- 耘谷 元天錫의 詩戱에 대한 小考
- 고전소설 속 여성 생활 문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과제
- '악처'의 독서심리적 근거
- 인문교양으로서의 고전시가 강좌의 한 예
-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 애정시조에 활용된 '술'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The Impact of Cross-National Distance on Chinese Firms’ Ownership Choice in Cross-Border Mergers and Acquisitions
- An Analysis of the Nexus between Remittances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a Panel Analysis of 4 South Asian Countries
-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on Job Burnout among Hotel Employees in China: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