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吳鞠通의 『溫病條辨』中 上焦에 관한 硏究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the Ohguktong(吳鞠通)'s Upper Burner[上焦] in 『The Sections of Warm Disease(溫病條辨)』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김영두(Kim Young-doo) 신승열(Shin Seung-yuel) 조경종(Cho kyung-jong) 이석재(Lee Seok-jae) 금경수(Keum Kyung-soo) 이시형(Lee Si-Hyeo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1권 3호, 177~258쪽, 전체 8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25
12,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n Epidemic disease is regarded as warm disease by Korean Medicine. Warm disease is highly contagious and shows an unfavorable condition, and that is characteristic of being widely prevalent. Warm disease study cope with this epidemic disease opportunely. In the Myeong[明] and Cheong[淸] Dynasty, warm disease study got into the region of Korean medicine of today and 『The Sections of Warm Disease(溫病條辨)』 contributed to the cause of the study was really great.
『The Sections of Warm Disease』 written by Ohguktong(吳鞠通) in the Cheong Dynasty are divided into the three sections of Upper burner[上焦], Middle burner[中焦] and Lower burner[下焦].
Ohguktong,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Defense-aspect[衛分], Gi-aspect[氣分], Construction-aspect [營分], Blood-aspect[血分], and so forth in all 『Sections of Warm Disease』, made use of Seopcheonsa(葉天士)'s Defense Gi[衛氣], Construction, and Blood pattern identification with Triple burner[三焦] pattern identification and six channel pattern identification.
And he, having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medicine, suggested in detail that the directions of medicine and described the processing according to method and the method to take medicine.
To conclude, Ohguktong(吳鞠通) Tong in 『The Sections of Warm Disease』 not only formulated the system of the practical theory of warm disease but also solidified the foundation covering warm disease and its treatment as well, He established the new method of treatment and formula related to warm disease and made a definite distinction between cold damage[傷寒] and warm disease[溫病].
목차
Abstract
Ⅰ. 緖論
Ⅱ. 硏究方法
Ⅲ. 本論
Ⅳ. 總括 및 結語
參考文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國 저널에 揭載된 氣功關聯 臨床 硏究 動向 分析
- 『醫宗金鑑ㆍ刪補名醫方論』의 升陽처방에 대한 번역연구
- 火生土의 槪念에서 본 心과 消化의 相互關係 考察
- 『脈經』卷第七 溫ㆍ灸ㆍ刺ㆍ水ㆍ火法의 適應證과 熱病의 豫後에 對한 硏究
- 『鍼灸大成』 醫案 중 上10案에 대한 硏究
- 吳鞠通의 『溫病條辨』中 上焦에 관한 硏究
- 『黃帝內經』과 『樂學軌範』의 五音과 五聲에 대한 考察
- 溫能除大熱法에 대한 硏究
- 明代의 小兒科學에 關한 硏究
- 漢易 卦氣說의 학술적 배경에 대한 연구
- 『素問ㆍ陰陽離合論』의 醫學思想에 대한 一考察
- 敦煌卷子 『佚名灸方』考
- 王好古의 著書에 대한 硏究
- 『黃帝內經』의 三陰三陽 脈象에 대한 小考
- 少陰人과 仁性의 관계에 대한 考察
- 『儒門事親』의 '下法'에 관한 연구
- 日本의 永富獨嘯庵에 관한 小考
- 葉天士의 胃陰論과 唐宗海의 脾陰論에 대한 분석
- 身形藏府圖에 관한 비교 연구
- 『本草綱目』에 나타난 『神農本草經』과 南北朝 以前의 本草書에 대한 硏究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