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Concomitan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최혜윤(Hye-Yoon Choi) 한지윤(Ji-Yoon Han) 김성준(Seong-Joon Kim) 엄태훈(Tae-Hoon Eom) 빈중현(Joong-Hyun Bin) 김영훈(Young-Hoon Kim) 정승연(Seung-Yun Chung) 이인구(In Goo Lee)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1권 제3호, 162~16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소아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뇌전증으로 치료 받고 있는 환자에서 ADHD 유병률을 알아보고, 두 질환이 중복되어 있는 환자를 ADHD가 없는 환자와 비교 분석하여 특징을 알아보아 두 질환이 중복되어 있는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 법: 2009년 3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소아신경과에 등록되어 뇌전증 진단 하에 항경련제 치료를 받았던 6세에서 18세까지 환자 중에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84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1) 대상아 184명중 ADHD가 중복된 환아는 69명으로 37.5%를 차지하고 있었다. 2) ADHD가 중복되지 않은 뇌전증 환아군에서의 남녀 비율은 49:51로 거의 비슷하였으나, ADHD가 중복된 뇌전증 환아군에서는 67:33으로 남자에서의 발생 비율이 여자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P=0.022). 3) 뇌파검사에서 ADHD가 중복된 뇌전증 환아들의 병변부위로는 중심부가 39%로 가장 많았다(P=0.014). 4) ADHD가 중복되지 않은 환아들에서는 한 가지 약제로 경련 조절이 가능했던 경우가 56%인 반면 ADHD가 중복된 경우는 36% 이었다(P=0.001). 따라서 뇌전증 환아에서 ADHD의 유무는 항경련제 치료 반응과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조기에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인자 중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결 론:뇌전증 환아에서 ADHD가 중복되는 경우는 ADHD가 중복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여러 특성이 다를 뿐 아니라 뇌전증의 치료 반응도 나쁘기 때문에 ADHD를 조기에 발견하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DH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with epilepsy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epilepsy and concomitant ADHD as opposed to the patients without ADHD for better managemen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84 patients diagnosed as epilepsy and treated with antiepileptic drugs in pediatric neurology department of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March, 2009 to May, 2012. Their ages ranged from 6 to 18 years. Th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ose who made a regular visit for more than a year.
Results : 1) Out of 184 patients, 69 patients (37.5%) had both ADHD and epilepsy. 2) In epilepsy children with ADHD, male outnumbered female by almost two fold (male 67: female 33) (P=0.022). 3) In epilepsy children with ADHD, epileptiform discharges on EEG was focused in central regions in 39% of them (P=0.014). 4) In 56% of patients without ADHD, their seizures remained under the control with single anticonvulsant, as opposed to 36% of patients with both ADHD and epilepsy (P=0.001). Therefore, the presence of ADHD in patients with epilepsy might be related to the therapeutic response to anticonvulsants, and be a useful predictive factor for the response to early treatment.
Conclusion : Patients with epilepsy and concomitant ADH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poor response to epilepsy treatment, as opposed to patients without ADHD. Therefore, early detection and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for ADHD is necessary.
목차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절성 경화증 환자에서 경막하 거대세포 성상세포종의 감마나이프와 수술치료 1례
-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with Psychotic and Parkinsonian Features: A Case Report
- An Adolescent Case of Recurrent Episodes of Ophthalmoplegic Migraine
- 뇌수막염이 의심된 영아에서 혈장 백혈구 중 단핵구 분율의 진단적 유용성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Articulation Patterns of Children who Developed Articul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Ankyloglossia
- A Case of Combined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and Acute Flaccid Paralysis associated with Enteroviral Infection
- 소아청소년 두통의 예방적 치료로 flunarizine의 효과와 안전성
- A Case of Japanese Encephalitis Presenting with Fever and Seizure in a 7-month old Infant
- Apert 증후군과 Pfeiffer 증후군
- 신생아 경련의 임상 양상과 예후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에서의 지속적 양압 호흡기 사용
- 경련이 동반된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 소아의 특성
- Multifocal Cerebr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Patent Foramen Ovale in Fifteen-year-old Male : A Case Report
- 소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임상 양상과 예후
-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가 중복된 뇌전증 소아의 특성
- 소아 간질 중첩증 환자에서 시대별 예후 변화에 대한 연구
- 소아청소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 양육자의 심리적 특성
- 소아 중추신경계 감염질환에서 저나트륨혈증 발생의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NEW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with KCNQ2-Related Epilepsy: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 Korea
- Rett-Like Phenotype in a Patient with a Novel Pathogenic FBXW7 Variant
- Neuroleptospirosis in a Patient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Rare Case Re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