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al feedback on learning language forms in communicative activities focused on speaking skill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민(Lee, Seungmi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9권 4호, 189~213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teachers' interactional feedback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ve activities can be helpful for L2 learning, especially in terms of learning language form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some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al feedback such as meaning negotiation and corrective feedback on learning language forms in communicative activities focused on speaking skill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Three types of communicative activities (a game, a survey activity, and a role-play) were designed. The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ree forms of groups (a group which had no meaning negotiation and corrective feedback, a group which had only meaning negotiation, and a group which had only corrective feedback). The students' interactional aspects were videotaped and analyzed in terms of accuracy of the language form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administered to verify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al feedback on learning language forms.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al feedback were compared in terms of feedback types and activity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interactional feedback such as meaning negotiation and corrective feedback can help students draw attention to language forms and lead them to notice gaps between features of their output and the target language. By providing learners with more explicit information regarding linguistic errors and more target-like versions, teachers' meaning negotiation and corrective feedback can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L2 learning. Especially, teachers' implicit feedback for performing corrective functions can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notice differences between their own utterances and the language used by their teachers and improve their production of more advanced language form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과 방법
Ⅳ. 연구 결과와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질문 피드백을 통한 영어 설명문 쓰기의 단계 발달 촉진을 위한 방안 연구
- Predictable Charts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영어 쓰기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말하기 중심 의사소통활동에서 교사의 상호작용적 피드백이 언어형식 학습에 미치는 영향
- 동화 기반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한 음성 발화 중심의 초등영어 지도
- 그래픽오거나이저의 적용이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등 예비 영어교사의 영어 학습과 교수에 대한 경험 및 인식
- 초등 영어 읽기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연구
- 사전활용 영어수업 실행연구를 통한 교사의 영어 읽기 지도 전문성 신장
- 온라인 실제 자료를 활용한 초등영어 읽기 교육 효과 연구
- British Perspectives on Transi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Implications for ELT Policy
- 개작 영어동화를 활용한 어휘 중심 초등 영어수업의 효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