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분석
이용수 349
- 영문명
- Analysis of Physical Class Experience of Teachers Leading Physic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문상진(SangJin Moon) 고진복(JinBok Koh) 전병운(ByungUn Jeo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4호, 81~105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신지체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경험을 토대로 현재 정신지체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사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정신지체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중심 현상은 무엇이며, 중심 현상을 둘러싼 교사들의 생각, 상황, 맥락은 어떠한가?’를 연구 문제로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정신지체학교에 서 체육교과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초등특수교사 5명, 중등특수교사 6명, 총 11명의 교사를 선정하고,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29개의 개념, 37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상위 범주가 나타났다 개념의 범주화를 바탕으로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과 과정분석을 통해 시간에 따른 변화과정이 생성되었다 선택코딩에서는 생성된 핵심범주를 토대로 교사가 보이는 행동패턴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력 확보형’, '활동 내 조정형’, '타협형’을 발견하였으며, 근거 자료를 통합하여 개인차원, 학교차원, 국가차원의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축코딩, 선택코딩을 토대로 정신지체학교에서 체육교과 지도시 나타나는 다양한 상황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xperiences of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research problem - What is the central phenomenon and thought, situation, and context of teachers regarding the teachers'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For study participants, five elementary and six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t a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were selected and one-to-one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alized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ed 129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3 superordinate categorie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concepts, in the axial coding, paradigm model and change process by time were created. In the selective coding, core categories, type analysis, and situational model were created. As a core category, 'moving toward a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 situation beyond a chaotic physical education class situation' was found. Based on the core situ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ypes according to behavioral patterns of the teachers, 'staff recruitment type,' 'adjustment in behavior type,' and 'compromise type' were discovered. Also, a situational model at individual, school, and national levels were proposed by integrating the evidence. Lastly, based on the conclusions from the axial and selective coding, various situat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garding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t a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과 한국의 IEP 변화과정 고찰 및 지적장애학생 IEP 운영의 발전 방안
- 정신지체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분석
- Secondary Schooling Predictors for Postsecondary Educational Aspirations and Enroll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indings from the NLTS2
-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 발달장애아 부모의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 및 불안 의식의 특징 및 구조적 관계 분석
- 장애신입대학생들의 고등학교에서 제공받았던 대학 진학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 지적장애인 비디오 기술 중재 효과에 대한 동향 분석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 구성요인 및 관계 연구
- 자폐성 장애학생 부모의 경험을 통한 초ㆍ중등 전환시스템 탐색
-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근거기반의 교수를 위한 중재효과 메타분석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 인지상태 진단
- 한국 중재반응모형 연구 분석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교수를 위한 실행과제
- 학생 주도적 교실환경의 탐구적 과학글쓰기활동이 초등학교 통합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다른 교과영역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뇌성마비아동의 학습양식 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기초한 특수교육용 e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 특수교사의 수엽설계 실태에 근거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