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Safety Behavior in Small-scale Workplac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예진(Ye Jin Park)(朴叡眞) 이명선(Myung Sun Lee)(李明善)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12호, 1~21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업 산업재해 중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는 50인 미만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행동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근로자의 행동변화 및 안전행동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안전교육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경인지역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사업장 근로자 총 32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 수준은 타 업종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며, 인지된 유익성(β=0.287, p<0.001), 연령(β=0.221, p<0.001), 행동의 계기(β=0.164, p<0.01), 고용형태(정규직 여부)(β=0.143, p<0.05), 인지된 장애요인(β=0.142, p<0.01)이 모두 정(+)적인 방향으로 안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단면적 연구로서, 안전행동을 실천하도록 하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실제 안전행동을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hat helps to make the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perform safer, or lead them to behave safer in their workplace. This study recognized the safety behavior of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in small-scale workplaces, applying to Health Belief Model(HBM),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behaviors. In case of safety behavior, the older the worker were(p<0.001), the higher the score of safety behavior was. Futhermore, according to the score, the owners behaved safer than the average workers(p<0.01), and regular workers performed more safely in the workplaces than the non-regular workers(p<0.001). The health belie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afety behavior(p<0.01). At the last, the factors that affected to the safety behavior were perceived benefits(β=0.287, p<0.001), age(β=0.221, p<0.001), cue to action(β=0.164, p<0.01), the type of employment(regular worker or not)(β =0.143, p<0.05), perceived barriers(β=0.142, p<0.01). In the conclusion, if the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in the small-scale workplaces perceive the benefits of safety behavior, are away from the barriers to safety behavior, and are motivated to behave safely by surroundings(family, coworkers, etc.), they work safely in their workplace.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 occupa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specify the plans to form the positive cognition of safety behavior and lead to safety behavior in the workplac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자력재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위기관리시스템의 개선 방안
- 지방정부 위기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반부패 정책의 성과에 관한 연구
- 소화기 성능 및 국제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한국 소화기 기술기준과 국제 기준과의 비교연구
- 고령화사회 위기관리를 위한 노인의 손상발생현황 분석
- 성역할 태도가 여성교도관의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산불방지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삼척지역주민들의 인식연구
- 재난적 해양오염방제시스템의 바람직한 개선방향
- 경인지역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근로자의 안전행동 분석
- 중국의 이념적 위기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응 연구
- 통행행태와 거주이전 관계에 관한 연구
- 도심형 홍수 예방을 위한 분산형 빗물저류장치 효과에 관한 연구
- 유도틀 설치에 따른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하구부 위험지역 분석을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 방염제도 운영의 고찰
- 통치위기와 중산층 이반
- How to Overcome Some New Disastrous Events in Korea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