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휴먼케어 서비스 종사자의 직무특성 하위요인이 직무긴장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29
- 영문명
- The Effects of Sub-constru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ain and Turnover Intention from Korean Human Care Service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최석봉(Choi, Suk Bong) 문재승(Moon, Joe Seung)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20권 제4호, 137~1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휴먼케어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학계와 실무계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휴먼케어서비스의 핵심인력으로 간주되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 최근 근무여건, 직무특성에 기인한 직무긴장과 이직, 그리고 이로 인한 서비스 질의 저하와 같은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직무긴장과 이직의 선행변수를 개인적 특성, 근무환경, 리더십 동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요양보호사는 장기요양보험의 도입과 함께 새로 등장한 직업이기 때문에 고유한 직무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의 긴장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긴장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여 인력관리와 조직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위치한 요양보호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01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중요성과 자율성은 직무긴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과업중요성과 자율성이 부(-)의 관계를 니타냈다. 셋째 직무긴장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은 직무긴장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직무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한 직무설계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 되었다.
영문 초록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role of the human care service in Korean society,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ub constru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job stain and turnover intention by using survey data of 201 human care service workers in Korea.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shows that both task significance and job autonomy were negatively associated to the job strain. Second, they were also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sion. Third, it is found that job strain had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managers require to set up the proper job design and organizational level support to improve task significance and job autonomy for better human care service.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셜 네트워크 스트레스가 소비자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팀 인력다양성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기업시민행동의 인적자원성과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휴먼케어 서비스 종사자의 직무특성 하위요인이 직무긴장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회사 경영관리방식에 대한 중국 근로자의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실증연구
- 영향력 전술과 리더역할이 리더십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Exploratory Study of Younger Boss in Korea
- 일중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특수고용직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요인
-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인사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기업의 제도적 동형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