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법상 고용분쟁 중재제도
이용수 18
- 영문명
- Arbitration Systems on Employment Disputes in U.S.A. Laws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홍기갑(Hong, Ki-Kab) 이병운(Lee, Byung-Woon)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25권 제2호, 345~375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rbitration is the predominant method of resolving labor disputes involving employees lovered by collective bougainning agreement , and is in growing use for nonunion employees .
Typically , the agreements include a prohibition against dismissals without just cause.
The arbitration tribunal decides whether just cause existed.
Federal law developed under § 301 of the labor management relation act preempts state law. but state courts to apply this body of common law .
Two overriding principles are those, one is that disputes are presumed to be arbitrable and another is that arbitration awards should not be invalidated except in extra ordinary circumstances.
목차
Ⅰ. 서 론
Ⅱ. 중재절차
Ⅲ. 중재의 효력
Ⅳ. 결 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법상 고용분쟁 중재제도
- 피고인의 방어권보장 관련 개정 형사소송법 재검토
- 미국법상 온라인 라이센스 계약의 유효성
- 변론종결 후의 승계인에 대한 기판력ㆍ집행력의 확장
- 대집행의 요건
- Is Agent Orange a Stop Sign to Block Aliens from Entering into United States Courts?
- 인터넷 뱅킹의 부정거래와 그에 대한 책임의 귀속
- 자원 소유권의 귀속
- 표현증명
- 國家戰略産業의 保護와 外國人의 敵對的 M&A
- 國際去來에 있어서 仲裁合意의 準據法 決定에 관한 考察
- 경찰행정법상 경찰의 정보수집활동과 정보적 자기결정권
- 지주회사에서 주주의 법적 이익보호와 이사의 책임문제
- 판례를 통해 본 미국 공정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의 의미
- 정보통신분야 개인정보의 형법적 보호
- The mainstream of the RTA case‐law in the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 미국연방증거규칙상 성격증거의 취급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