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정「민법」상 입양과「입양특례법」상 입양
이용수 637
- 영문명
- Adoption under the revised Civil Law and the Special Adoption Act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현소혜(Hyun, So-Hye)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家族法硏究 第27卷 1號, 85~11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ome articles concerning adoption in Korean Civil Law and the Special Adoption Act have been recently revised. But unfortunately those two statutes become in consistent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he primary department and the gap of time for revision. For example, those who want to adopt a child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Special Adoption Act can also choose an adoption or a full adoption under the Civil Law, and thereby they can escape from rigorous requirement of the Special Adoption Act. Furthermore, on the one hand an adoption under the Civil Law becomes effective by an adoption report under the Act on the Registration, etc. of Family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an adoption under the Special Adoption Act becomes effective at the same time with the final and conclusive adjudication which has admitted an adoption claim. Consequently children who has been adopted by foreign parents cannot be protected properly when adoptive parents reject to take over the child after the adoption adjudication. It is not clear either, whether an adoption without adjudication under the Special Adoption Act is null and void, or not, because the new Special Adoption Act just provides that the articles concerning adoption in Korean Civil Law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without specifying whether those articles are related to a normal adoption or a full adoption. Besides, a provision about the consent exemption in case of missing of a legal representative is left out in full adotion, and a provision about the consent exemption in case of unjustifiable rejection in adoption under the Special Adoption Act, either. The revised Civil Law and the Special Adoption Act surely has opened a new horizon of the area of adoption, but we cannot deny that they have a lot to be improved.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입양허가제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
Ⅲ. 입양동의제도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
Ⅳ. 나가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보호를 위한 현행 법제의 비판적 검토
- 아동학대와 부모의 친권에 관한 문제
- 성년후견법의 시행준비작업상의 몇 가지 이론적, 실천적 문제
- 의식조사를 통한 파탄주의 도입 가능성 모색
- 성전환자의 성별정정 허가기준과 그 입법적 제안
- 인격적 가치 있는 온라인 디지털정보의 상속성
- 자의 복리를 위한 친양자제도
- 친권자의 공백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법정대리인의 결정
- 개정「민법」상 입양과「입양특례법」상 입양
- 사실혼관계에서 혼인신고시 상대방이 의사무능력 상태인 경우 그 혼인의 효력
- 독일법상 배아입양에 관한 소고
- 친권 제한의 유연화
- 피성년후견인과 피한정후견인의 소송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