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유통증권의 선의취득제도에 대한 연혁적 고찰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holder-in-Due-Course Rule of a Negotiable Instrument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문정해(Moon, Jung-Hai)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28권 제1호, 185~205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holder in due course under the Uniform Commercial Code (hereinafter, “UCC”) § 3-302 is a person who acquires a negotiable instrument for value, in good faith, without notice that it is overdue, dishonored, or that any person has any claim or defense, and the holder in due course is protected by UCC § 3-305 from most claims and defenses. Through this protection of the holder-in-due-course rule,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home mortgage lending market, predatory lenders have been able to avoid the risk of harm created by mortgage borrowers, and investors in the securitization market have been able to assign almost all such risk to the homeowners who are the victims of the predatory lenders’ practices.
This article raises a fundamental policy question: is there reason to support the continuing availability of the holder-in-due-course protection for assignees of home mortgage notes in the U.S.? The answer can be approached form many perspectives, including historical, economical, and political. This article approaches the answer form the historical perspective. In order to find some new suggestions for the Korean legal regimes and relevant studies, first of all, this article reviews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holder-in-due-course rule and the underlying concept of negotiability under UCC. Additionally, this article analyzes the legal changes regarding the protection afforded to holders in due courses in consumer goods transactions and in estate transactions. Then, this articl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policy justifications, the parties. and the market circumstances for negotiable instruments have changes, therefore, Korea needs deeper studies on the holder-in-due-course rule to reflect the reality.
목차
I. 서 론
II. 미국의 금융 위기와 유통증권의 선의취득제도
III. 미국 유통증권의 선의취득제도에 대한 입법 및 제한의 역사
I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의 부정행위 방지방안으로서의 내부고발제도에 관한 소고
- 세도나 캐나다 원칙에 관한 고찰
- 노동법상 사용자 적격성에 대한 검토
- 법인격 부인론의 합리적 재구성
- 미국 유통증권의 선의취득제도에 대한 연혁적 고찰
- 독일의 인터넷콘텐츠 규제와 형법의 역할
- 보험자의 최대선의의무에 관한 고찰
- 현행 실업급여 제도에 대한 재검토
- 中國 醫療損害賠償에 대한 證明責任分配制度의 變遷과 構造
- The UCC or the CISG: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for Contracts between U.S. and South Korean Parties
- 방송ㆍ통신에 대한 내용규제와 규제기관의 법적 지위
- 글로벌 시대의 국가와 주권
- 공범종속성을 둘러싼 일본의 최근 논의 동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