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더 많은 신제품이 더 좋은 성과를 만드는가?
이용수 413
- 영문명
- A Panel Da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New and Hit Products on Firm’s Revenue and Profit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이윤숙(Younsuk Lee) 이남경(Namkyung Lee) 신호정(Hojung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24卷 第1號, 2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의 기업들은 신속하게 다양한 신제품을 시장에 출시하는 것이 기업성과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 듯하다. 하지만 모든 신제품들이 시장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막대한 개발비용과 마케팅 비용으로 인하여 기업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8년부터 2009년까지 세계 18개 자동차회사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개발비, 신제품, 그리고 인기상품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기상품수의 증가는 기업의 매출액과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반면 신제품수의 증가는 매출액에 대하여 부분적인 기여를 하지만 수익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제품개발과 마케팅에 소요되는 비용과 자기시장 잠식효과 등으로 인하여, 신제품개발이 기업의 수익률 제고에 항상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님을 입증하고 있다. 신제품개발이 기업수익에 직결되기 위해서는 신제품이 출시되어 인기상품으로 전환되는 확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기존 제품들과의 포트폴리오를 고려한 전략적인 제품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New product development has been crucial for the firm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competitive environment. However, most of the new products fail despite that firms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R&D expenditure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R&D investment, new product introduction and hit products on firm performance. Th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18 auto-makers worldwide, and a set of panel analyses is conducted. The result shows that the number of hit products is related to firm performance positively, but the influence of new products on firm performance is mixed. Increased number of new products may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firm limitedly, but negatively affect profitability of the firm. New products are likely to harm firms' profitability because of cannibalization of existing product lines and huge costs of marketing and overhead upon the launch of new products. These results imply that firms should develope an effective new product strategy to convert new products into hit product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및 가설설정
Ⅲ.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Ⅵ. 결론 및 추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