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당공천제도와 당내민주주의
이용수 681
- 영문명
- Die Kadidatenaufstellung durch Parteien und innerparteiliche Demokratie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 저자명
- 이부하(Lee, Boo-Ha)
- 간행물 정보
-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8卷 第2號,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러 공천부정사례가 정당별로 밝혀지고 있다. 이는 정당 내부의 민주성을 갖추지 못하거나 정당의 공천이 투명하거나 공정하지 못함에서 유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당의 민주화가 실현되지 않고서는 공직선거의 공정성이 확보될 수 없는 이러한 상황을 합리적인 제도 개선으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공직선거법상 정당공천 규정과 정당들의 당헌이나 당규 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독일의 연방선거법에서 정당 공천에 관한 규정과 각 정당들의 당헌들을 살펴봄으로써 법제도 개선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정당의 공천과정은 정당 내부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공직선거의 일부분에 해당되기에 공법적 규율을 받아야 한다. 정당 공천의 민주성과 공정성은 정당의 민주화를 판단하는 시금석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우리 헌법 제8조 제2항에서는 정당의 목적·조직·활동의 민주성을 요구하고 있다. 특정 권력에 의한 정당 공천의 독점화에 대해 법으로 규제하는 것은 공익을 위해 불가피한 사항이다. 당내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정당 공천의 민주화와 공천과정의 투명화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법률에서 공천에 관한 상세한 규정들을 구체화해야 한다.
우리나라 주요 정당들은 특정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최종적으로 공천권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임의적인 공천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세분화된 절차와 시스템에 의한 공천과정이 법률에 규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통합진보당 사건에서 보듯이 인터넷을 통한 직접투표에 있어서 문제점과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마련이 시급하다. 독일 연방선거법에서는 연방의회의원 선거후보자 정당 공천에 관한 법적 규율을 자세히 규정하고 있는데, 우리 공직선거법에서도 정당 공천에 관한 본질적인 내용을 구체적으로 규율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Eine besondere Bedeutung kommt der innerparteilichen Kandidatenaufstellung für die demokratische Legitimationswirkung staatlicher Wahlen zu. Für die Kandidatenaufstellung durch Parteien gelten eine Reihe von verfassungsrechtlichen Vorgaben. So folgt das Erfordernis der Wahl durch eine Mitglieder- oder Vertreterversammlung sowie die Geltung der allgemeinen Wahlgrundsätze für die Wahlen sowie für alle vorgeschalteten innerparteilichen Auswahlverfahren. Die Wahl eines Kandidaten durch die Mitglieder- oder Vertreterversammlung einer Partei hat zur Voraussetzung, dass sich bei mehreren Bewerbern eine Auswahl an den Kriterien der Persönlichkeit und des politischen Programms des Kandidaten orientieren kann. Aus diesem Grund wird es regelmäßig notwendig sein, dass sich die Kandidaten persönlich in gebotener Zusammenfassung vorstellen und programmatische Aussagen machen können. Die Auswahl der Kandidaten darf weder rechtlich noch tatsächlich den jeweiligen Führungsgremien der jeweiligen Partei zur alleinigen Entscheidung überlassen werden.
Der Schwerpunkt der Wahlvorbereitung durch die Wahlvorschlagsträger liegt in der Auswahl der Bewerber, der Kandidatenaufstellung in Mitgliederversammlungen oder besonderen oder allgemeinen Vertreterversammlungen. Die Aufstellung der Kandidaten für die öffentliche Amtswahl erfolgt in der Praxis durch einen kleinen Kreis in Korea.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당내민주주의와 공직선거후보자 공천
Ⅲ. 우리나라 정당의 공천에 관한 당헌 및 그 문제점
Ⅳ. 독일의 공직선거후보자 공천에 관한 법률과 당헌
Ⅴ. 결론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 국가기관에 의한 흡연권의 제한과 한계
- 미국법상 규칙의 제정권한과 구별기준
- 의원입법 부실화의 원인과 내실화의 방안
- 미국의 정치자금규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 불법행위법의 보호대상인 기본권적 법익
- 일제치하에서 계엄법
- 프랑스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 헌법재판소의 평등심사기준과 국가인권위원회의 차별판단기준
- 동독이주민에 대한 서독정부의 성공적 대응정책에 관한 일고
- 기본권의 법적 근거와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 헌법구조에서의 경제와 경제질서
- 정당공천제도와 당내민주주의
-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입법체계와 현황에 관한 일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