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팔굽관절에서 측정방법에 따른 고유수용성감각 차이
이용수 45
- 영문명
- Difference of Proprioceptive Sense at Elbow Joint According to Measurement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정아(Lee, Jung-ah) 김덕화(Kim, Duk-hwa) 신화경(Shin, Hwa-kyung) 최규환(Choi, Kyu-hwan) 권오윤(Kwon, O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0권 제3호, 63~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joint position sense between measurements. Fourteen healthy male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elbow joint position senses were measured using angle reproduction test. The elbow joint position sense was assessed with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ipsilateral reproduction test in open-chain condition, contralateral reproduction test in open-chain condition, ipsilateral reproduction test with weight in open-chain condition and ipsilateral reproduction test in closed-chain condition.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stimulus position and the reproduced position (angular error) was calculated in all testing conditions to examine the accuracy of the joint position sense. One 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error angles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The error angles between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lbow joint. The error angles was smallest in ipsilateral reproduction test with weight in open-chain condition and was greatest in the contralateral reproduction test in open-chain conditio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esting methods, types of task, existence of resistance should be considered in clinical assessment for the joint position sens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팔굽관절에서 측정방법에 따른 고유수용성감각 차이
- 불완전 척수손상 후의 자동보행훈련
- 테니스 주(tennis elbow)에 대한 레이저치료와 관절가동화기법의 효과: 메타분석
- 등척성 운동시 운동강도에 따른 중앙주파수의 특성
- 무릎관절 추적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 시각 차단, 과제 유형, 및 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정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 스펀지 패딩을 이용한 붕대법이 부종감소에 미치는 영향
- 슬링(sling)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펴기 동작 시 근 활성도 비교
- 뇌성마비 아동의 가정치료에 있어서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반복적 경두부 자기자극이 운동학습과 뇌 운동영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 만성 요통환자의 치료를 위한 치료용 볼 운동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