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조욕과 온열욕의 교차성 열효과
이용수 106
- 영문명
- Contralateral Heating Effects of Contrast Bath and Warm Bath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만(Kim Young-man) 박소연(Park So-yeon) 최흥식(Choi Houng-sik) 권오윤(Kwon O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3권 제2호, 49~5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skin temperature and blood flow on the contralateral upper extremity when heat is applied to one upper extremity, were to compare the effect of contrast both. The subjects were 38 healthy adults with no history of peripheral vascular disease. The subjects of contrast bath were 18 persons and the subjects of warm bath were 20 persons. The subjects of one group were seated with their right arm in water(42℃) up to the mid-forearm. The subjects of the other group were seated with their right arm up to the min-forearm in water which was changed from warm to cold using the contrast bath technique. The continually changed temperatures and blood flow were measured by an independent observer at intervals of 10, 15, 20, 25 and 30 minutes respectively after the start of the proced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mperature of the warm bath group rose 4.28% over the pre-experimental temperatur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trast bath group rose 3.4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blood flow of the warm bath group rose 8.31% over the pre-experimental blood flow and the blood flow of the contrast bath group rose 17.2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2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procedure. Thus the contrast bath is a more effective method than the warm bath to increase blood flow.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마비 환자의 단하지 보조기 착용유무에 따른 하지 체중지지율과 보행특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대조욕과 온열욕의 교차성 열효과
- 경피신경 전기자극법이 교감신경 긴장성에 미치는 영향
- 관절 가동운동(mobilization)이 관절 감수기(joint receptors)에 미치는 영향
- 침형 경피신경 전기자극법과 전통적인 경피신경 전기자극법의 교차효과 비교
- 의료재활 서비스 수요전망 및 인력수급에 관한 재활인력간 응답특성
- 시각 및 청각 되먹임을 통한 편마비 환자의 좌우대칭적 서기자세 훈련효과
- 성인편마비환자의 지팡이 길이 측정법 비교
- 정상아와 비만아의 활보장과 분속수의 차이
- 건강한 성인과 성인편마비의 표면열 적용시 사지에서의 동통역치 변화에 관한 연구
- 편부전마비 환자에서의 근육약화에 대한 생리학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