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Normative Characters of Law : In what methods do laws guide subject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권경휘(Kyung-Hwi Kwon)
- 간행물 정보
-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36輯 第1號,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egal philosophers who assume the standpoint of sanction thesis maintain that methods of law to guide actions include only duty-imposing method. In such standpoint, law guides actions of people only in a way to force people to select particular action that law requires. If so, norms that guides actions within legal system are only duty-imposing norms. On the other hand, other legal philosophers like H. L. A. Hart and J. Raz maintain that power-conferring norm proposes reason for action independently though it differs from duty-imposing norm in typ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tandpoint of recognizing only duty-imposing method critically, it was concluded that such claim distorts the normative function of law severely. Power-conferring law assigns actors with power to modify the legal position of him/herself or others. Such conferring of power affects the decision of actor. At this time, the influence of power-conferring law on actor’s decision is not simply coincident. In other words, power-conferring law combines legal results to the action of actor so that actor may ground his/her action on the legal results that law combines in deciding his/her action. Thus power-conferring also is a method of normative guiding of action. Therefore, I argue that power-conferring method also should be covered as well as duty-imposing method when legal philosopher explains the method in which law guides people’s action. Only in such case, legal philosophers will be able to explain properly without distorting the normative function of law.
목차
Ⅰ. 서론
Ⅱ. 의무부과적 규범으로의 환원주의에 대한 비판
Ⅲ. 권한부여적 규범의 독자성에 대한 검토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이탈리아]외국에서 받은 보조생식의료 시술로 이탈리아에서 출산한 자녀를 동성커플의 비생물학적 모의 법적 자녀로 인정하지 않는 법조항의 위헌성
- [프랑스]통행 및 체류 권리 확인을 위한 외국인 임시구금 절차에 식사할 권리를 규정하지 않은 것이 인간존엄성에 반하는지 여부
-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의 합헌성 논쟁: 5.29.자 美국제무역법원의 위헌 판결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