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물리치료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부담작업 유해요인 평가
이용수 171
- 영문명
-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and Workload Evaluation of Physical Therapists: Focused on Neurological Injury Treatment of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중호(Jung-ho Lee) 최영철(Young-ehul Choi) 김진상(Jin-sa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69~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mportance of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has been increasing in the hospital industry such as health care industry and financial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like general, occupational and ergonomical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of physical therapists (PTs). Ergonomic tools of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ULA) were used for evaluation workload of the tasks. Prevalence of MSDs were 13 PTs (26.0%) for neck, 31 PTs (62.0%) for shoulder, 9 PTs (18.0%) for arm/elbow, 27 PTs (54.0%) for hand/wrist, 28 PTs (56.0%) for back, 14 PTs (28.0%) for leg/foot. The analysis of the rate of the pain intensity showed that 53.5% subjects experience moderate pain and 14.0% subjects experience severe pain. Factors which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height, ergonomically characteristics such as ‘Posture Score A’ were related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in logistic analysis (p<.05). Among physical therapists, action level of RULA were action level 2 (6.0%), action level 3 (52.0%). action level 4 (42.0%). Physical therapists were estimated one of the highest risk factor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at tile need of preventive education and program for PTs (physical therapists).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to include both ergonomic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일어서기 동작시 편마비 환자의 보행 속도에 따른 체간과 하지 근 활성 형태의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 물리치료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부담작업 유해요인 평가
- 다열근 심부 및 표면 근섬유 두께에 대한 세 가지 요추안정화 운동의 효과
- Comparison of Abdominal and Lumbar Multifidus Muscle Activity During Unilateral Hip Extension in Prone Position on the Floor and on a Round Foam Roll
- 국내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건측억제-환측유도 치료효과의 메타분석
- 골반압박벨트 착용이 한발서기 시 여성 천장관절통증 환자의 체간과 고관절 신전근 활성 양상에 미치는 영향
- 수동적 어깨뼈 정렬이 작은가슴근 단축된 사람의 등세모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승마시뮬레이터 훈련과 평류안뜰자극이 자세균형능력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