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브랜드의 전형성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6
- 영문명
- Effects of Parent Brand's Typicality on Brand Extension: Role of Advertising Typ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나준희(Na, June-Hee) 반용(Pan, Yong) 홍성준(Hong, Sung Ju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0권 제1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용한 브랜드 확장전략은 기업 실무에서 매우 빈번히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용한 브랜드 확장 전략이 실패하는 경우도 매우 자주 나타나고 있다. 특히 확장 제품군에 지배적 브랜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현상이 더욱 자주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모브랜드의 전형성과 확장 제품군내의 지배적 브랜드의 전형성간의 비교 연구를 광고 상황에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모브랜드의 전형성이 확장 제품군의 지배적 브랜드의 전형성에 비해 높은 경우에는 관련성 광고 가정교화광고에 비해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렇지만 모브랜드의 전형성이 확장 제품군의 지배적 브랜드의 전형성에 비해 낮은 경우에는 관련성 광고보다는 정교화 광고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moderating effect of brand typicality and advertising type on evaluation about extended product. For this end,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2(brand typicality: parent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VB. parent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x2(advertising type: e1aboratianal Ad VB. relational A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rand typicality was sigoificant on evaluation about extended product.
Second, advertising type was not significant
Third, a 2(brand typicality)x2(advertising type) ANaVA showed that ooosum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in the relational Ad rather than e1aborational Ad uoder the parents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However, under the parents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ooosum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in the elaborational Ad rather than relational A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료 관광의 미래 전략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 소셜커머스 고객의 신뢰, 만족, 그리고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 고층 건축물 교통 체계 개선을 위한 무빙 시스템 연구
- 도시근로자 가계의 통신비 지출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 산업에서의 인지된 가치와 위험이 고객만족과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재래시장의 서비스품질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 병원이미지와 서비스 관계가 고객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 양극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으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념적 연구
- 스포츠팀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관한 연구
- 모브랜드의 전형성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Consumer-oriented Green Product Acceptance Model
- 항공여정에 대한 시간적 거리감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 미용성형의 지각된 위험 및 추천의 영향
- 한국 프로축구의 국제화를 통한 수익극대화 전략
-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특성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