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Lifestyle Habits and Nutrient Intake Conditions of Female Shift Workers at General Hospitals on Bone Mineral Density Value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영란(Young-Ran Kim) 이태용(Tae-Yong Lee) 박영선(Young-sun Park) 천해경(Hae-Kyung Cheon)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5권 제1호, 9~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활주기가 불규칙한 종합병원에 5년 이상 근무한 만 30세 이상의 교대근무여성 총 232명을 연구대상으로 생활습관과 영양섭취상태를 조사하고,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교대근무여성의 골 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허락한 교대근무여성들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혈액 검사를 통한 생화학적 검사로 혈청 알부민, 총 단백질, 총 콜레스테롤,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칼슘, 인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생활 습관, 총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알부민, 칼슘, 인,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를 독립변수로, 골밀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운동, 음주, 칼슘, 인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10.2%였다. 즉 운동을 하지 않은 군보다 운동을 한 군일수록,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일수록, 칼슘이 많은 군일수록, 인이 많은 군일수록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3교대 조사대상자들의 불규칙한 생활습관으로 인한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며 칼슘과 인을 1 : 1 비율로 섭취하는 식이습관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bone disease prevention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lifestyle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shift workers, at general hospitals with an irregular life cycl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2 female shift workers, over
30 years old, who worked at a general hospital more than 5 years. From the subjec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decided to be participated, we measured serum albumin, total brotein, total cholesterol,
hematocrit, hemoglobin, calcium, phosphorus from blood test, and obtained bone mineral densit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variables for explanation power, we established the studied values as independent variables, bone minral density as a dependent variable. Exercise, the number of drinking , calcium, and phosphoru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10.2%. The bone mineral dens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ubjects who had exercise, higher calcium and phosphorus possession, and drank alcohol than the opposite cases. Regular exercise, and 1:1 intake of calcium and phosphorous were important to prevent osteoporosis for the subjects who were working three shifts which cause irregular lifestyl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sefulness of CT based SPECT Fusion Image in the lung Disease
-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운동이 미치는 영향 평가
- 전산화단층촬영검사와 일반촬영검사의 방사선 선량에 대한 인식도 조사
- MDCT에 사용되는 조영제의 부작용에 대한 고찰
- CT 외래환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업무개선 연구
- 종합병원 교대근무 여성들의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상태가 골밀도 값에 미치는 영향
-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방사선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DEXA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시 검사자의 ROI 변화에 따른 골밀도 측정값의 오차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