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on Balance and Gait Velocity of Hemiplegic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손효영(Hyo-young Son) 최종덕(Jong-duk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10~1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on the ankle joint passive range of motion (PROM), balance capacity and gait velocity in hemiplegic patients. Fourtee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EG) or the control group (CG), with seven subjects in each group. The EG received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in the paretic leg’s subtalar joint in order to increase ankle dorsiflexion. The CG received general physical therapy training. Both groups received training five times a week over a period of two consecutive weeks. The figures for PROM of ankle dorsiflexion on the paretic leg, the functional reach test (FRT),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gait velocity were recorded both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sessions for both groups. The EG’s results in gait velocity, the FRT and the TUG test improved after training (p<.05). The PROM of ankle dorsiflexion improved both in the EG and the CG (p<.05), the EG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 (p<.05) than that of the C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creased joint mobilization positively affects balance and gait velocity of hemiplegic patients. Further studies with a greater sample size are necessary in order further prov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극장식 계단강의실 의자와 일반강의실 의자에서 받아쓰기 과제 수행 시 등세모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에 활동과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
- 편마비 환자의 반 쪼그려 앉기(semi-squat)동작 시 양하지 지지면의 형태가 하지 근활성도와 체중분포에 미치는 영향
-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고관절 외전시 반대 측 고관절 내전이 요추안정화 근육 두께와 골반 외측 경사에 미치는 영향
- 체중이동 훈련을 통한 관절가동화기법이 편마비환자의 균형 및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 하위 무릎뼈를 지난 성인들을 대상으로 쪼그려 앉기 운동 시 하위 무릎뼈 스트랩을 이용한 무릎뼈 높이 변화가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팔꿉관절 가쪽위관절 통증 환자에서 근위방향 가능적 마사지를 이용한 노쪽 손목 폄근 신장운동이 통증과 근력에 미치는 효과
- Task-Oriented Approach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of the Affected Arm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기간 동안 재활치료 프로그램이 삶의 질, 심폐기능, 피로에 미치는 영향
- 다양한 다리 꼬아 앉은 자세에 따른 골반과 척추 각도 및 볼기 압력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lectrophototherapeutic Resources Associated or Not With Exercise and Dosimetry Used in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A Scoping Review
- Comparison of Gluteus Medius and Quadratus Lumborum Muscle Activity During Hip Abduction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Gluteus Medius Weakness
- Influence of Improvement i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n Recovery of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