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따른 급지별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분석
이용수 414
- 영문명
- A Study of Analysis on Students’ and Parent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for Elementary After School Program Implement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전경순(Jeon, Kyeong-Soon) 김석우(Kim, Suk-Woo)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4권 제4호, 873~8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한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급지에 따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전체 297개교 중 가, 나, 다, 라 급지별 1개교를 대상으로 학생 151명, 학부모 201명의 총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해 SPSS WIN 14.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하여 학생과 학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사, 교육과정, 운영성과, 수강료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급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계층의 학생과 학부모에게 높은 신뢰도 형성과 방과후학교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질적 개선과 급지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수요자 맞춤형 방과후학교로서 다각적인 접근 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esirable ways of improving to manage the after school programs efficiently and successfully by analyzing students’ and parents’ cognition and satisfaction to manage the after school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each school’s grade.
For this, the questionnaire for analyzing the data of the study was conducted to 151 students and 201 parents(total 352 people) in the elementary schools withing Busan Education Office, including every school’s grade A, B, C, D. The subjects of the survey data in order to identif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chi-square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all students and parents think the after school programs in a positive way. But there a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about lecturer, course of study, management result and satisfaction with tuition fee according to the school grade. To invigorate after school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 it needs improvements and diversified methods such as surveying the attendees’ needs are required to achiev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herefore, in order to settle the after school programs stable, the study suggests after school’s qualitative improvement to obtain students’ and parents’ high reliability and the necessity of educatee-customized multilateral approaches considering the region’s proper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검사 제한시간에 따른 검사속도성 영향
- 검사 길이와 수행등급 개수에 따른 성취수준 분류 일관도 및 정확도 연구
- PISA 읽기소양 우수 및 취약집단 학생들에 대한 결정요인 변화
- 대학이 추구하는 인재상과 학생선발방법
- 한국판 학업참여 척도(UWES-S)의 타당화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따른 급지별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분석
- 학교 향상도에 근거한 학교유형 분류 및 특성 탐색
- A Comparative Study on Coefficient Alpha and Congeneric-Model-Based Reliability Estimators for Tests Composed of Clusters of Items
- 연중 학업성취도의 변화 측정을 위한 점수산출 방법의 비교
-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와 피드백 방식이 현직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적용한 검사동등화에서 가교검사를 위한 동형 문항의 활용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Speech Perception in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A Multimodal fNIRS study
- Analysis of Students' Eye Movement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Visual Model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Algorithms
- Potential Biomarkers in Serum for Ischemic Strok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