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Rise and Fall of Dumakru State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兪泰勇(Yu, Tae-Yong)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70號, 141~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fter conquered by Koguryo, 494, Puyo, one of the ancient states in Korea, was dis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 however, Puyo descendants founded their new state, called Dumakru, on the north bank of Songhua river. In this article, I tried to attempt not only to reorganize historical documents about Dumakru, but also to reassess cultural heritage of Dumakru.
Dumakru was a state founded by Puyo ethnic group, lived in the great plains of Songliao and Songnun. Dumakru means restoration of ancient territory in Koguryo and Puyo languages. Therefore, Dumakru can be recognized as a state in which Puyo descendants recovered their ancestor’s lost territory.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Dumakru was located on the north of Mulgil tribe and on the east of Silwi. This indicates that today vast areas between east of Sonun plains and north of Songliao plain must be the territory of Dumakru.
Both culture and social system of Dumakru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Puyo and Koguryo. That’s because in many ways Dumakru could be succeeded their ancester’s heritage of Poyo and accepted sociocultural custom of Koguryo.
Dumakru was lastly documented on the historical records in the year of A.D. 724. At this year diplomatic officials of Dumakru visited to the Chinese court. After this episode, Dumakru was no more appeared on the historical documents in China and Korea. At this time, it seems to be that Dumakru must be occupied by Huksu Malgal and Balhai.
목차
Ⅰ. 序論
Ⅱ. 豆莫婁國의 成立
Ⅲ. 豆莫婁國의 文化
Ⅳ. 豆莫婁國의 滅亡
Ⅴ. 結論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三國時代 王室의 荒淫
- 臨時政府 樹立 이후의 獨立鬪爭과 西大門刑務所
- 癡菴 申奭鎬 선생에 관한 추억의 片鱗
- 치암 선생님을 그리면서
- 「급상경」전보 한통
- 치암선생과 나의 高大시절 회상
- 癡菴 申奭鎬선생의 學恩
- 개화기 日帝의 서울 南村 侵奪過程 考察
- 국사편찬위원회에서의 치암의 편사업적
- 癡菴의 間島 收復論과 圓峯의 白山學會
- 朴殷植의 민족운동과 『全集』 편찬의 의의
- 癡菴先生님을 그리며
- 彌勒寺址 石塔 발견 銘文의 ‘大伯士奉聖’
- 朝鮮初期 密陽 在地勢力의 淸道移住와 定着過程
- 中宗初의 政治變化와 士林의 成長
- 申奭鎬선생님이 살아오신길
- 문과 급제자 거주지 분석
- 북방 기마민족의 가야ㆍ신라로 동천에 관한 연구
- 朝鮮時代 선비의 養生觀과 退溪『活人心方』
- 한국근현대사에 있어서 주체성 문제 고찰
- 麗末鮮初 度牒制 運用과 僧徒의 性格
- 『日本書紀』 高句麗 關係 記事의 整理
- 日帝下 大韓光復團의 歷史的 位相
- 白村江ㆍ州柔城の位置比定に關して
- 일본의 한국사 왜곡
- 고려시대 귀화인의 역할과 영향
- 일제식민지하 신여성운동과 최용신
- 月經과 暴巫, 두 키워드로 본 ‘모략가’ 김유신
- 대몽항전의 성격에 대하여
- 郭再祐의 經世國防論 고찰
- 중국의 東北工程의 실체와 高麗의 高句麗 繼承意識
- 세계유산 고구려고분군
- 朝鮮後期 賑恤倉, 浦項倉鎭의 設廢考
- 諡號制의 來歷과 李石灘의 贈諡 事例
- 韓國 靑磁製作의 開始時期問題에 대한 諸說의 檢討
- 이순신의 한산도가 문제와 보성 열선루
- 豆莫婁國 興亡史 硏究 試論
- 갑오개혁기(1894~1896) 駐日 朝鮮公使의 파견과 외교활동
- 盧伯麟의 美國에서의 獨立運動(1916-1921)
- 신문왕의 婚禮儀
- 新羅의 五廟制 ‘始定’과 神文王權
- 癡菴發掘 沈興澤報告書 副本에 대하여
- 율곡의 도학사상과 수양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Innovation in Legal Practice in the Digital Age - Taking Model-Based Legal Reasoning as an Example
- Interpretation, Integrity, and the Right Answer: An Analysis of the Core Propositions in Dworkin's Legal Theory
- Research on Legal Governanc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